<속보>경기도교육청의 장애인 고용률이 전국 최하위를 기록하면서 ‘장애인 인력풀제’를 도입해 취업 희망자를 모집하는 등 대책에 나섰지만(본지 2011년 12월 23일 1면·27일자 22면 보도) 대다수인 지적장애인들의 채용을 위한 충분한 준비과정을 거치지 않은데다 성급한 정책발표로 현실적 방안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18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지난 13일 까지 ‘장애인 인력풀’에 등록을 원하는 도내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재학중인 졸업예정 장애인을 대상으로 취업 희망자 접수를 받았다.
도교육청은 접수 마감 결과 84명의 졸업예정 장애인학생들이 접수해 이들을 해당 지역교육청 ‘장애인 인력풀’에 등록해 장애인 인력을 필요로 하는 학교에 우선 배정한다는 방침이다.
해당 학교는 ‘장애인 인력풀’ 등록 대상자에 대해 면접 및 직무능력 심사를 거쳐 채용을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도교육청의 이런 방침은 취업 희망 장애인에 대한 충분한 사전 지식과 업무 적응 교육조차 없는 것이어서 생색내기 정책에 불과한 게 아니냐는 지적이다.
서울시교육청의 경우 지적장애인 채용을 위해 지난해 9월부터 올해 1월까지 총 4개월여간, 일선 학교 인턴교육 과정 등을 거친 뒤 50명을 채용할 것으로 밝혀 도교육청과 대조를 보이고 있다.
도교육청의 이번 정책은 2%대의 장애인 고용률을 보였던 서울시교육청이 체계적인 준비과정을 거쳐 장애인 고용을 늘려 나간다는 방침과 상반 돼 비난을 자초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 서울시교육청은 ‘희망일자리 코리아점프’라는 프로젝트를 통해 지난해 9월부터 사전면접과 오리엔테이션을 거친 70여명의 지원자들이 직무보조원의 도움을 받아 3주간 일선 학교에서 1차 인턴과정을 거쳤다.
또 1차 인턴과정을 통해 선발된 취업 희망 장애인 50명은 올해 1월까지 약 3개월의 2차 인턴과정을 거쳐 70%가 넘는 학교에서 취업 연장의사를 밝힌 것으로 나타났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지난 13일 접수 마감한 ‘장애인 인력풀제’와 별도로 취업을 희망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프로그램을 준비중”이라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