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서민들 빚 ‘눈덩이’… “IMF 때보다 어렵다”

장기화되는 부동산 경기 침체와 실물 경기 악화로 가계 소득은 줄어드는 반면 빚만 늘어가는 서민들의 체감 경기는 여전히 ‘한겨울’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자택을 보유한 가구의 가계 빚이 가처분 소득보다 빠른 증가세를 보이면서 집은 있으나 가난한 삶을 영위하는 ‘하우스푸어(house poor)’ 급증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14일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의 ‘2011년 가계금융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자택을 소유한 전(全) 가구의 가처분 소득은 연평균 3천688만원으로 전년 3천373만원 보다 9.3% 늘었다.

하지만 같은 기간 부채총액은 5천629만원에서 6천353만원으로 12.9% 상승, 가처분 소득 증가 속도의 1.4배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가처분 소득에서 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0년 166.9%에서 2011년 172.3%로 확대됐다.

특히 수도권 가계의 가처분 소득 대비 부채 비율은 250.2%로, 비수도권 가계(110.0%)보다 두 배 높았다.

월지급 이자와 월상환액도 수도권 가계가 64만원에서 79만원으로 23.4%, 비수도권 가계가 38만원에서 47만원으로 23.7% 증가했다.

이같은 수치는 집을 소유한 가계의 부채와 이자비용이 소득보다 빠르게 증가해 빚을 갚을 능력이 감소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대출을 받아 주택을 마련했으나 원리금 상환으로 생계에 부담을 느껴 가계 지출을 줄이는 ‘하우스푸어’가 2010년 기준으로 156만9천가구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다.

실제 취업사이트 커리어가 직장인(21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도 응답자의 73.6%가 경제불황을 극복하기 위해 ‘지출 줄이기(덜먹고 덜쓰기)’를 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와 함께 IMF 및 금융위기 때와 비교했을 때 현재 생활형편은 ‘지금이 더 어렵다’는 의견이 53.3%로 가장 많았으며, 그 이유(복수응답)로 ‘카드값·대출 등으로 갚아야 할 가계부채가 높아져’가 61.1%를 차지했다.

현대연구원 임희정 연구위원은 “가계수입 증가율이 경제성장률에 못 미치는 상황에서 부채가 누적되고 대출금리가 올라 가계 가처분 소득이 줄고 있다”면서 경계에 있던 중산층이 빈곤층으로 전락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