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30 (수)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은행 가계대출 25조 늘려… 커지는 빚 부담

은행들이 올해 주택담보대출보다 신용대출에 집중하는 전략으로 가계 대출을 25조원 가까이 늘리기로 함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의 상환압박과 신용대출의 연체 위험이 점차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은행들이 최근 금융감독원에 부문별 가계대출 증가 목표치를 담은 2012년도 경영계획서를 제출, 가계대출을 연간 24조5천억원 늘리겠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해 말 은행권 가계대출 잔액 453조6천억원의 5.4%에 해당하는 것으로, 계획대로 진행 시 올해 가계대출 증가액은 2008년 24조9천억원 이후 가장 많아질 것으로 보인다.

국내 연간 경상성장률이 은행권 가계대출의 상한선으로 제시된 만큼 이 추세가 이어지면 내년 중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500조원을 넘을 것이 확실시된다.

특히 은행들은 올해 주택담보대출보다 신용대출에 집중키로 했다.

주택담보대출은 322조6천억원으로 16조8천억원(5.5%)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 대출은 155조5천억원으로 7조7천억원(5.2%) 늘릴 방침이다. 이 중 신용대출 증가율은 5.5%로 잡았다.

이같은 방침은 향후 주택담보대출의 신규대출 문턱이 높아지고 상환압박은 커지는데다 주택담보대출보다 고금리를 받은 신용대출은 경제가 어려워졌을 경우 가계의 이자 부담을 증가시켜 자칫 신용 위험에 빠뜨릴 가능성이 높다.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주택담보대출은 4대 시중은행인 국민 10조4천억원, 우리 9조5천억원, 신한 6조4천억원, 하나 5조9천억원 등을 포함 50조원으로, 이자만 내는 거치식 대출이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금융당국은 향후 거치식 대출을 점차 줄여가는 방침을 세우고 있어 만기 때 가계 상환부담이 커질 우려가 있다.

신용대출은 담보가 없는 만큼 대출금리가 높고, 경제 사정이 나빠지면 부실해질 위험이 높다. 현재 은행들이 목표치로 잡은 가계대출에는 신규대출과 기존대출 상환이 포함돼 있어 한계차주(원리금 상환이 어려운 대출자)를 중심으로 채무상환 위험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해 금융당국은 가계 대출이 늘어나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보고 대출의 구조를 개선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신규 취급 대출은 고정금리형과 비거치식 분할상환이 늘고 있는 만큼 2016년 말까지 목표수준(잔액의 30%)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