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FTA 발효 후 국내 유통업체들은 미국으로부터 ‘먹거리’를 가장 많이 수입해 올 것으로 전망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국내 유통기업 250개사를 대상으로 ‘유통기업의 한·미 FTA 활용계획’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응답기업이 한미 FTA 발효 후 가공식품(29.1%)과 신선식품(27.9%)의 수입을 늘릴 것이라고 답했다고 5일 밝혔다.
이어 잡화(18.6%), 화장품(12.8%), 의약·건강보조식품(11.6%), 주류(9.3%), 의류(7.0%) 등의 순이다. 기업규모별로는 중소기업의 경우 가공·신선식품, 잡화, 주류 수입을 늘리겠다는 응답이 대기업보다 많았다.
‘한·미 FTA 발효 후 미국산 수입상품 판매가격을 내릴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는 응답기업 절반 이상(54.0%)이 ‘그렇다’고 답했으며, ‘변화 없다’는 답변도 31.2%에 달했다.
가격 인하방안에 대해서는 응답기업 24.4%가 ‘관세 인하분 만큼 내리겠다’고 답했으며 75.6%는 판촉비 증가, 복잡한 유통구조 등으로 ‘관세 인하분 중 일부만 반영하겠다’고 답했다.
한·미 FTA가 국내 유통시장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미칠 시기에 대해서는 ‘발효 1년 이후‘(59.8%), ‘발효 즉시’(23.6%), ‘발효 3년 이후’(8.6%), ‘발효 5년 이후’(8.0%) 순으로 응답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국내 가격보다 저렴한 삼겹살, 치즈, 오렌지 등 식료품에 대한 수입이 증가하면 소비자들의 장바구니 부담이 줄어들 것”이라면서 “소비자들의 선택권도 넓어져 소비문화도 변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