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인구가 타 지역 청·장년층 인구 유입으로 20년 새 전국 16개 시·도 가운데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이면서 도 경제의 주요 성장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하지만 낮은 출산율과 빠른 고령화 등으로 도내 인구 증가세가 둔화됨에 따라 향후 성장잠재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돼 이에 따른 정책적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6일 한국은행 경기본부가 발표한 분석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 기준 경기도 인구 수는 1천138만명으로 1990년보다 84.9%(522만명)나 증가했다. 이는 전국 인구 비중의 23.4%로, 전국 16개 시·도 중 가장 많은 인구 보유율과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것이다.
도내 인구증가는 청·장년층을 중심으로 한 타 지역으로부터의 인구유입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이 기간 늘어난 522만명의 인구 중 자연증가(116만명)을 제외한 406만명이 서울(318만명)과 전남(15만명), 전북(13만명) 등 타 지역에서 유입된 인구였고, 이 중 청년층(15~29세)이 40.7%, 장년층(30~64세)이 40.4%으로 청·장년층대 인구 유입이 81.1%에 달했다.
장년층의 인구유입은 도내 연령별 인구구조도 변화시켰다. 현재 도내 연령별 인구구조는 20년 전 청년층(30.6%)과 장년층(38.2%)이 비슷한 비율을 보였던 것과 달리 장년층이 전체의 52.2%를 차지하고 소산소사의 추세까지 더해지면서 종형 구조가 뚜렷해졌다.
이러한 인구구조 변화는 전기전자 및 자동차 등을 중심으로 한 제조업이 도 경제성장을 주도하고 서비스업도 견고한 성장세를 보임에 따라 동 산업에서의 취업자 수 증가가 인구 유입을 촉진했기 때문으로 한은 경기본부 측은 분석했다.
이 외에 신도시 건설 등 주택공급 증가, 서울에 비해 낮은 주택가격, 서울과의 교통망 확충 등도 인구 수 증가 요인으로 작용했다.
그러나 지속적인 출산율 저하와 도내 공공기관의 지방이전 등 향후 인구 순유입 감소, 고령화의 빠른 진행 등으로 도내 인구 증가세가 둔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라면 2030년 도내 인구구조가 55~59세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역피라미드 형태로 바뀔 것으로 보인다.
한은 경기본부 측은 역피라미드 인구구조는 노동생산성 저하와 청·장년층 부양부담 가중, 저축률 저하, 지방재정 부담 확대 등으로 이어져 지역경제 성장잠재력을 약화시킬 우려가 있다고 내다봤다.
한은 경기본부 관계자는 “이러한 현상에 대응하기 위해선 노년층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기회확대와 정년연장 또는 정년 후 계약직 재고용 등을 통해 노년층의 고용을 확대하는 등 노동생산성 제고를 위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하다”며 “또 실버 헬스케어타운 조성 등 고령친화산업의 시장규모를 확대해 지역경제의 차세대 성장산업으로 육성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