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소득불평도가 2008년 금융위기 때보다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득 하위 10%에 속하는 빈곤층의 소득증가세가 상대적으로 부진했기 때문이다.
8일 통계청에 따르면 소득 하위 10%의 경계소득(P10) 대비 상위 10% 소득경계(P90)의 배율인 P90/P10 비율은 지난해 4.82로 2010년의 4.80보다 소폭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서 소득분배지표 중 하나로 사용하는 P90/P10 비율은 커지면 빈곤층과 고소득층의 소득격차가 커졌다는 의미고, 작아지면 그 반대다.
지난해 P10은 균등화 가처분 소득 기준으로 64만3천원으로, 이 값보다 낮으면 소득 하위 10%의 빈곤층에 해당한다. P90은 지난해 310만원으로 이 값보다 높으면 상위 10%의 부유층이다.
빈곤층과 중산층의 소득격차도 더 벌어졌다. 소득 하위 10% 경계값과 중위값(P50)의 배율인 P50/P10 비율 역시 2010년의 2.53에서 작년 2.59로 상승했다.
하지만 상류층과 중산층의 소득격차는 좁혀졌다. 상위 10%의 경계값과 중위값이 배율인 P90/P50 비율은 지난해 1.86으로 2010년의 1.90보다 줄었다. 이러한 수치는 빈곤층의 소득 개선도가 중산층보다 상대적으로 부진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
작년 P10은 전년 대비 3.71%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P50은 6.12%, P90은 4.10% 늘어 빈곤층의 소득증가율이 가장 낮았다.
이같은 현상은 최근 6년간 글로벌 금융위기에 직면한 2008년을 제외하고 뚜렷한 추세로 나타난다.
P90/P10 비율은 2006년에는 4.53이었지만 2007년 4.69, 2008년 4.81, 2009년 4.79, 2010년 4.80, 2011년 4.82로, 작년이 미국발 금융위기의 직격탄을 맞은 2008년보다 높다.
P50/P10 비율도 같은 기간 2.43, 2.45, 2.49, 2.50, 2.53, 2.59 등으로 매년 격차가 벌어졌다. 반대로 P90/P50 비율은 2006년 1.87, 2007년 1.91, 2008년 1.94, 2009년 1.92, 2010년 1.90, 2011년 1.86 등으로 2008년 이후 낮아지는 추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