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수도권 중소형아파트의 매매가격이 하락세로 돌아섰다. 고가 전세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서 중소형마저 값이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부동산114는 올 1~2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아파트의 면적별 매매가격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전용면적 60㎡ 이하 소형아파트가 0.10% 떨어졌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지난해 같은기간 소형아파트가 0.72% 오른 것과는 대조적인 것으로 지난 2011년 1~2월 0.28% 올랐던 60㎡ 초과 85㎡ 이하 중형아파트도 올 들어 0.26% 떨어졌다. 또 85㎡ 초과 대형아파트 하락폭은 작년 -0.03%에서 -0.26%로 8배 이상 커졌다고 업체는 전했다.
그간 전세난을 피하려는 실수요가 중소형의 매매가를 끌어올렸지만 최근 아파트 등 고가 전세에 대한 수요가 감소해 중소형마저 값이 떨어지고 있다고 업체 측은 설명했다.
물가 상승으로 가계 실질소득이 감소한 상황에서 전세가격이 지속적으로 오르자 아예 아파트 거주를 포기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지역별로는 서울의 소형아파트 약세가 두드러졌다. 60㎡ 이하 매매가 변동률은 서울 -0.22%, 인천 -0.11%, 경기 0.02%를 기록했다.
경기도에서 유일하게 소형이 소폭 오름세를 보였지만 지난해 같은기간 상승률인 1.11%와 비교하면 미미한 수준이다.
60㎡ 초과 85㎡ 이하 중형아파트 역시 서울이 0.36% 떨어져 하락폭이 가장 컸고 인천과 경기가 각각 0.27%와 0.16% 내려갔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수석팀장은 “올해 들어 취득세 감면혜택이 폐지됐고 오피스텔과 도시형생활주택 등 소형아파트 대체재도 대거 공급돼 앞으로 중소형아파트 값이 좀 더 빠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