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기업 10곳 중 8곳이 국제유가 급등의 영향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전국 제조업체 300여개사를 대상으로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기업 피해’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 81.6%가 ‘국제유가 상승으로 피해를 입었다’고 답했다고 12일 밝혔다.
특히 ‘피해가 매우 심각하다’는 응답이 대기업(9.4%)보다 중소기업(23.9%)에서 많이 나와 중소기업이 받는 타격이 더 큰 것으로 드러났다.
피해 내용은 ‘생산비용 상승에 따른 채산성 악화’(50.2%), ‘원료가격 상승에 의한 자금난’(39.8%), ‘제품가격 인상에 따른 가격경쟁력 저하’(29.1%) 순으로 나타났다.
‘실제 구매하거나 도입하는 유류가가 지난해 연말에 비해 어느 정도 상승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10% 이하’라는 응답이 63.3%로 가장 많았지만, ‘11~20%’란 응답도 23.3%에 달했다.
한편, 유가 상승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은 많지만 마땅한 대책을 마련하고 있는 기업은 거의 없었다.
응답기업 95.7%가 ‘국제유가 상승에 대한 별도의 대응책이 없다’고 답했으며, ‘국제유가 상승분을 제품가격에 반영하지 못했다’는 답변도 78.4%에 달했다.
국제유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정부가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정책과제로는 ‘유류세 인하’(57.4%), ‘정부 비축물량 공급 확대’(19.7%), ‘수입관세 인하’(17.7%), ‘산업용 원료 대상 개별소비세 면제’(14.1%)를 차례로 꼽았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최근의 국제유가 상승으로 생산비용이 빠르게 상승하면서 특히 중소기업들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정부는 유류세 인하와 비축물량 공급 확대 등을 검토해 유가 안정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