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경기도교육청의 학교부적응과 학교폭력 등으로 학업을 중단하게 된 학생들을 위한 장기위탁대안교육기관이 타지역에 비해 크게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되자(본보 2월14일 6면 보도) 지난해에 비해 50% 늘어난 15곳의 장기위탁대안교육기관을 운영하기로 했다.
14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도교육청은 학교폭력 가·피해학생과 학교부적응 학생들의 재활 및 치유, 학교적응력과 인간관계에 대한 도움을 주고자 올해 15곳의 장기위탁대안교육기관을 지정했다.
단기위탁대안교육기관도 지난해 69곳에서 17.4% 늘어난 81곳을 선정했다.
도교육청은 지난해 장기위탁대안교육기관 10곳을 지정·운영해 20곳을 운영한 서울시교육청에 절반 수준에 머물렀었지만 지난해보다 약 5억원이 늘어난 12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장·단기위탁대안교육기관 확충에 적극 나서고 있다.
장기위탁대안교육기관은 일반 대안학교와 달리 해당 학생이 학적을 옮지지 않아도 돼 추후 대안학교 졸업생이라는 낙인효과를 방지할 수 있는 방식으로 김상곤 도교육감의 교육철학과도 잘 맞아떨어지는 대안교육 수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도교육청은 장기위탁대안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의 절반을 인성과 소질, 적성, 진로교육 등 대안교과로 편성하고 대안교육 학생의 출·결사항과 성적은 원소속 학교에서 그대로 인정되면서 졸업 역시 원소속 학교에서 처리한다.
이번에 선정된 장기위탁대안교육기관은 중학교 2학년 과정 1곳과 중학교 통합 4곳, 고등학교 2~3학년 1곳, 고등학교 통합 7곳, 미혼모 중·고교 과정 2곳 등 모두 15곳이며 최장 1년 동안 교육을 받을수 있다.
또한 도교육청은 단기위탁대안교육기관도 총 81곳을 선정했으며 특별교육이수 또는 출석정지(등교정지) 처분을 받은 학생이 최장 10일까지 대안교육을 받을수 있도록 했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예산부족으로 위탁대안교육기관의 확충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으나 다행히 지난해 보다 늘릴수 있었다”며 “학교폭력 및 학교부적응 학생에 대한 맞춤형 지원으로 ‘폭력없는 인권친화적 학교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