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업체 10곳 중 8곳이 휴일근로 제한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제조업체 313개사를 대상으로 ‘근로시간 단축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응답기업 84.0%가 ‘휴일근무를 연장근무에 포함해 근로시간을 제한하려는 정부 계획이 타당하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고 18일 밝혔다.
지금까지는 주당 12시간의 연장근무 외에 토·일요일 각 8시간씩의 휴일근무를 허용하고 있었다.
기업들은 정부 방침이 휴일근무를 할 수밖에 없는 업계 현실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실제 응답기업 70.0%는 ‘납기일을 맞추기 위해’, 23.3%는 ‘업종 특성상 휴일근무가 불가피해서’ 휴일근무를 시행한다고 답했다.
기업들은 휴일근로를 제한하면 ‘납품물량·납기일을 못 지켜 거래처를 잃거나’(45.7%), ‘인건비 상승으로 제품원가가 높아져 기업 경쟁력이 낮아질 것’(42.5%)을 우려하고 있었다.
이어 ‘신규 채용이 어려워 인력난이 가중’(39.9%)되거나 ‘생산시설 해외이전 혹은 해외생산 비중 확대’(12.8%) 등의 부작용이 따를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응답자 중 81.8%는 경영여건상 신규채용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응답했고 추가적인 설비투자가 어려운 형편이라는 기업도 87.2%에 달해 현재의 생산량 유지를 위한 신규채용이나 설비투자도 여의치 않다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기업들은 휴일근로가 제한되면 근로자의 임금도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64.2%의 기업이 ‘근로자의 임금이 다소간 줄어들 것’이라고 답했고 ‘매우 많이 줄어들 것’이라는 의견도 20.1%나 됐다. ‘]임금에 변화가 없을 것’이란 응답은 15.7%에 그쳤다.
이동근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휴일근로를 연장근로에 포함하는 문제는 기업의 경쟁력과 근로자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이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노사정간 충분한 논의를 거쳐 중장기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