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6개 전업카드사의 당기 순이익이 전년 대비 절반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카드연체율이 상승하면서 위험에 대비해 적립하는 대손비용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KB국민카드를 제외한 신한, 삼성, 현대, BC, 롯데, 하나SK 등 6개 카드사의 순이익은 1조3천억원으로 전년 2조7천억원보다 52% 감소했다.
금감원 측은 지난해 연체율 상승과 함께 충당금 적립기준이 강화되면서 대손비용이 크게 증가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7개 카드사의 총채권 기준 연체율은 지난해 말 현재 1.91%로 전년 말(1.68%) 대비 0.23%p 상승했다.
금감원은 지난해 6월 말부터 충당금 적립 기준을 강화했는데, 연체 1개월 미만의 정상여신의 신용판매는 1.5%, 카드대출은 2.5%로, 연체 1개월이상 3개월 미만에 해당하는 요주의 여신의 경우는 신용판매 40%, 카드대출 50%로 대폭 높였다.
이 때문에 전업카드사의 대손비용은 2010년 3천200억원에서 지난해 1조1천903억원으로 급증했다.
특히 지난해 카드사들은 수익보다 비용이 더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KB국민카드를 제외한 6개 카드사 수익은 유가증권 관련수익 감소 등으로 전년 대비 4.9%(7천억원) 증가에 그친 반면 비용은 9.7%(1조1천억원) 늘었다.
가맹점수수료 수익은 수수료율 인하로 전년 대비 3천억원 증가하는데 그쳤다. 2010년에는 가맹점수수료 수익이 전년보다 1조1천억원 늘었다.
지난해 카드사들의 외형 증가세도 감독당국의 외형확대 경쟁 억제로 인해 크게 둔화됐다.
은행 겸영 카드사를 포함한 전체 카드자산 잔액은 지난해 말 현재 79조7천억원으로 전년 말 75조6천억원에 비해 5.4%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0년 당시 14.7%의 카드자산 잔액 증가율엔 크게 못미치는 수준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지난해 건전성 감독 강화 등으로 신용카드 수, 카드자산 등 외형증가세가 둔화되고 충당금 적립기준 강화 및 연체율 상승으로 대손비용이 증가하면서 카드사 수익성이 많이 줄었다”며 “앞으로도 수익성 감소는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