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9 (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내집 앞만 아니면 돼”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가 원자력에너지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거주지역 내 관련시설이 들어오는 것을 기피하는 님비(NIMBY) 현상은 국민들 사이에 여전히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현대경제연구원이 전국 성인 남녀 1천11명을 대상으로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89.9%가 ‘원자력에너지가 전력공급원으로 어느 정도는 필요하다’고 답했다.

연령별로는 30~40대(87.2%)보단 20대(92.8)와 50대(93.9%)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좀 더 많았다.

국내에서 원전 관련 사고가 날 가능성에 대해선 ‘낮다’가 58%, ‘높다’가 42%로 큰 차이를 보이진 않았지만, 한국의 원전기술 수준은 높다는 의견이(66.8%)이 낮다는 응답(33.2%)의 두 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또 응답자의 70.9%는 ‘국가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원자력산업을 수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했다.

이같이 많은 국민들이 원자력에너지 필요성 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막상 자신의 거주지역 내 원자력발전소가 생길 경우, 절반 가량인 46.1%는 ‘충분한 보상이 이뤄져도 반대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 국내 원전 건설이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이 30.1%에 불과했고, 현상태 유지(53.4%)와 축소(16.5%) 의견이 10명 중 7명을 차지했다.

현대경제연구원 측은 이러한 인식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중 하나로 원자력에너지에 대한 국민들의 막연한 불안감을 꼽았다.

실제 원자력에너지에 대해 에너지 자립이나 경제성장 같은 긍정적인 측면을 떠올리는 비율(47.4%)보다 핵 방사능 사고나 두려움을 연상하는 비율(52.6%)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장후석 연구위원은 “국민들의 원자력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막연한 불안감 같은 모호함에 근거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정확한 원전 정보 제공과 불안감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있는 정보 채널 확산 등의 방법이 모색돼야 한다”며 “원전 홍보 시에도 ‘안전’이라는 소극적인 접근보다 ‘에너지 자립’ 같은 적극적인 측면을 부각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원전 축소 시 전기료 인상을 받아들일 수 없다는 응답은 21.4%였으며, ‘10% 이내 인상은 감내할 수 있다’는 54.7%, ‘11~20% 이내’ 14.7%, ‘21~30% 이내’ 6.1%, ‘30% 이상’이 3.1%를 차지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