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평군 장애인복지관이 장애인들에 대한 배려없이 설계도면을 무시한 채 준공돼 물의를 빚고 있다.
9일 가평군 장애인단체 관계자 L씨는 “장애인을 위한 복지시설을 건축하면서 의무적으로 설치해야 하는 편의시설을 무성의하게 설치해 장애인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있어 즉시 개선돼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군은 재활에서 자활까지 한 곳에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 5천여 장애인들의 권익증진과 복지향상을 꾀하기 위해 36억원을 투입,장애인복지관을 건축해 지난달 30일 개관식을 갖고 본격운영에 들어갔다.
하지만 정작 장애인들을 위한 편의시설이 엉망인 것은 물론 시설프로그램 역시 미흡하게 운영되고 있어 시설관계자들을 위한 고용창출에 지나지 않는다는 비난의 목소리가 높게 일고 있다.
주민 B씨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형 유도블럭이 잘못 설치돼 있으며 미끄럼방지용 바닥재를 사용하지 않아 안전사고 위험이 높고 유도손잡이 사용 역시 불편할 것으로 보인다”며 개선을 요구했다.
이에 군 관계자는 “장애인 편의시설 기술센터에 의뢰해 의견을 수렴했으며 요구사항에 대해 적극 반영했다”고 주장했고, 장애인 편의시설 기술지원센터 김모 팀장은 “미처 확인하지 못했다”며 “다른 사항들에 대해서는 장애인들이 불편하지 않도록 최대한 배려했다”고 답변했다.
건축 감리를 담당한 A건축 백모씨는 “설계도면에 표시한대로 시공해야 하는데 장애인단체에서 요구하는 대로 설계와 다르게 시공됐다”며 “경미한 사항은 변경건이 아니어서 사용승인서류에 그대로 반영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장애인편의증진보장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에서는 이용에 관한 모든 편의시설이 의무적으로 설치돼야 한다고 규정돼있어 군 장애인복지관 건립을 둘러싼 관계자들의 책임회피가 장애인들의 불편을 초래하고 권리를 망각한 행동이라는 비난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