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3 (일)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립유치원 “카드 NO! 현금만”… 학부모 ‘속앓이’

대부분의 사립유치원이 유치원비 현금 납부만을 고집해 학부모들이 반발하고 있으나, 자녀가 불이익을 받을까 우려해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참는 것으로 알려져 대책이 요구된다.

10일 교육과학기술부와 관련업계에 따르면 전국 3천940개 사립유치원 중 현재 카드로 유치원비를 납부할 수 있는 곳은 695곳으로 전체의 17.6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6월 기준 사립유치원비 한 달 평균액은 41만7천원으로 대부분의 사립유치원 학부모들은 매달 고액의 유치원비를 꼬박꼬박 현금으로 내야 하는 실정이다.

학부모들의 불만에도 사립유치원들이 카드 납부에 적극 나서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카드 수수료’다.

현재 유치원비를 카드로 수납시 수수료는 결제액의 2~4% 정도다. 또 유치원비와 아동수가 공개되는 것도 카드 납부를 꺼리는 이유로 꼽는다.

문제는 학부모들이 유치원비의 카드 납부 불가에 불만을 갖고도 자신의 아이가 불이익을 받을까 속앓이만 하고 있다는 점.

수원의 한 유치원 원장 A씨는 “카드 결제를 도입한 인근 유치원은 지난해만도 수백만원을 냈다고 한탄했다”면서 “정부에서 카드 수수료를 0.36% 지원해 준다지만 얼마 안되고, 그 돈으로 좋은 교재와 교구를 사는게 낫다는게 공통된 생각”이라고 말했다.

6살 아이를 둔 박모(40)씨는 “유치원비를 카드로 납부할 수 없다고 (유치원으로부터) 공지받아 황당했다”며 “계좌이체를 통해 원비를 내는데 얼마 전부터는 아예 자동이체를 권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모(37·여)씨도 “학부모들이 여유가 없을 때는 카드로 낼 수 있기를 바라지만 자녀가 가정형편이 좋지 않은 아이로 알려지거나 미움을 받을까 말도 못 꺼낸다”며 “주변에서 돈을 빌리거나 심지어 제2금융권에서 소액대출을 받아 현금으로 유치원비를 내는 사람도 있다”고 말했다.

교육당국은 사립유치원의 유치원비 카드 수납률을 30~40%까지 높이겠다는 입장이지만 아직 명확한 대책은 없는 상태다.

교과부 관계자는 “학부모들이 당연히 카드로 유치원비를 납부하고 싶어하지만 사립유치원은 소득이 노출되는 것을 꺼려 카드 수납을 원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면서 “국세청 등과 협의해 좋은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말했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