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먹는 하마’에 ‘애물덩어리를 넘어선 재앙’으로까지 불렸던 용인경전철이 지방채 발행 승인과 사업정상화 양해각서 체결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특히 전임시장의 무리한 사업추진 등의 이유로 사상초유의 급여인상분 반납, 5년간 급여 동결 등 막대한 후폭풍을 동반한 용인경전철이 MRG(최소운임수익보장률) 폐지와 안전성 담보 등의 획기적 내용을 포함한 정상화로 전화위복의 계기가 될지 관심이 모아진다.
18일 용인시와 용인시의회 등에 따르면 용인시가 행정안전부의 승인을 받아 시의회에 제출한 지방채 4천420억 추가발행계획과 ‘경전철 정상화를 위한 양해각서 체결 동의안’ 등이 이날 상임위와 예결위를 통과했다.
이에 따라 19일 시의회 본회의 통과를 남겨두고 있지만 시집행부와 시의회가 용인경전철 문제 해결에 적극 협력한다는 입장이어서 사실상 ‘사업정상화 양해각서(새 MOU)’ 체결이 확정적이다.
관심을 모으고 있는 새 MOU는 용인경전철의 재앙이라 불렸던 기존의 MRG 폐지와 함께 ‘비용 보전방식’으로 변경키로 하면서 기존 3조4천억여원의 재정부담이 1조8천억여원으로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될 것이란 전망이다.
용인경전철이 사실상 시의 재정사업으로 전환되면서 안전성 담보는 물론 소음민원 해결, 탄력적 운영 가능 등의 효과도 기대된다.
또 시 공유재산 매각 등 자구노력과 함께 경전철 개통이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수질오염총량제 추가 물량 확보, 신분당선 연장선 개통 등과 맞물려 ‘동부권’과 ‘경전철 역세권’ 개발도 본격화될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