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6 (월)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차기 대권 길목 ‘도지사’ 누가 뛸까

김문수 지사의 대권 출마선언으로 경기도지사 보궐선거에 벌써부터 관심이 쏠리고 있다.

오는 23일부터 대선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되면서 이달 중 사퇴를 기정사실화하고 있어 대선과 함께 실시될 차기 후보군이 본격 물망에 오르고 있다.

김 지사는 이와 관련 “지사직이 공무원으로 (대선)과 충돌할 일이 많고 내가 판단할 때 어려운 점이 많다”고 밝혀 지사직 사퇴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재임기간 중 광역자치단체장이 사퇴할 경우 보선비용이 만만치 않다. 김 지사의 출마선언 이후 벌써부터 이를 둘러싼 책임론이 제기되고 있는 상태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사퇴로 치뤄진 보선때는 320억원이 들었다. 선출직 공직자의 중도사퇴는 혈세 낭비뿐만 아니라 후임자 선출까지 행정 공백도 초래하는데다 행정의 일관성도 깨지고 책임행정도 어렵게 되면서 큰 진통을 예고하고 있다.

■ 새누리당 유정복·임태희 주목= 새누리당은 친박계 유정복(김포) 의원과 임태희 전 태통령실 비서실장이 주목된다.

3선의 친박계 핵심인 유 의원은 박근혜 전 대표의 비서실장과 농림수산식품부를 지내며 거물급으로 성장했다. 이번 4·11총선에서는 50%가 넘는 압도적 지지를 얻어 수도권 역할론의 중심에 서있다.

김 지사의 대권 출마시 유력한 차기 도지사직 후보군으로 임 전 실장도 빠짐없이 등장, 오래 전부터 도지사 출마가 유력시돼 왔다. 다만 최근의 민간인 불법 사찰파문에 따른 연관성 때문에 출마할 경우 야당의 거센 공세를 받아야할 처지다.

일찍부터 도지사 출마플랜을 저울질해온 남경필(수원병) 의원도 후보군에 꼽히고 있으나 ‘수도권 대표론’ 등에 힘입어 당 지도부 입성으로 가닥을 잡을 전망이며, 정병국(여주·양평·가평)·원유철(평택갑) 의원 등도 후보군에 물망에 오르고 있다. 현역의원 사퇴가 부담스럽다.

새누리당은 그러나 인천·강원에 이어 서울시장 등 수도권 광역단체장을 잇따라 야당에 내주면서 유일하게 확보해온 경기지사직마저 내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에 ‘김문수 책임론’과 동시에 적지않게 부담스러운 상태다.

김 지사는 이날 “지사직이 공무원으로(대선)과 충돌할 일이 많고 내가 판단할때 어려운 점이 많다”고 밝혀 곧 지사직 사퇴가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 민주통합당 정장선·원혜영·김진표 등 거론= 민주통합당에선 4·11총선에 불출마한 정장선(평택을) 의원과 함께 김진표(수원정) 원내대표, 원혜영(부천 오정)·김영환(안산 상록을)·이종걸(안양 만안) 의원이 유력한 차기 주자로 거론되고 있다.

정 의원의 경우 의원직 사퇴에 대한 부담에서 자유로운데다 총선 불출마 이후 도지사직을 겨냥한 포석이라는 견해가 높아 유력한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다.

김 원내대표도 6·2지방선거 당시 도지사직 당내 경선에 나서는 등 오래 전부터 물망에 올랐고 60%가 넘는 득표율로 3선에 성공, 손학규 상임고문 등과 함께 당내 ‘중도강화론’ 대표주자로 후보군에 오르고 있다.

하지만 총선 공천 때부터 제기된 친노계 주류의 당 지도부와 정체성 논란이 여전히 잠복해 있는데다 현역 사퇴에 따른 부담도 적지 않다.

초대 당 대표를 지낸 4선의 원 의원도 민선 부천시장을 지낸데다 당 지도부와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등 유력 후보로 급부상하고 있다.

온건중도파의 김영환 의원도 정통부장관을 역임하는 4선 의원에 올라 도전에 나설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한편 경기도지사 보궐선거는 이번 총선과 마찬가지로 야권 후보단일화가 성사될 것으로 보여 여야 맞대결 구도로 펼쳐질 것으로 전망된다.

■ 혈세 낭비 ‘보궐선거비용’ 논란= 4·11총선에서 기초단체장 5명과 지방의원 56명 등 지자체 선출직 61명에 대한 보궐선거도 함께 실시됐다. 보선비용만 20여원이 지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도내에서는 12명의 현역 광역의원들이 총선에 출마하기 위해 도의원직을 사퇴, 보궐선거를 치르면서 중도사퇴로 인한 보선비용 혈세낭비 논란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무상급식으로 인한 오세훈 전 서울시장의 사퇴로 치러진 보선 때는 320억원이 들었다.

김 지사의 사퇴로 인한 보선비용도 만만치 않다. 책임론도 비등할 것으로 예상된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