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환경단체와 검단장수간 도로 전면철회 범주민대책위원회(이하 위원회)는 22일 성명을 내고 2년전 약속한 검단~장수 도로 계획철회를 ‘중부광역간선도로’ 계획으로 명칭만 변경해 추진하려 한다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인천시가 이같은 위원회의 주장에 난색을 표명하고 있어 향후 상당한 갈등을 예고하고 있다.
위원회는 “시가 인천내륙유일 자연녹지의 훼손으로 인천시민들의 환경권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는 위원회 측의 주장에 따라 검단~장수 도로 계획철회를 약속했으나 최근 2025 인천도시기본계획변경안 공청회를 통해 ‘중부광역간선도로’계획을 발표, 사실상 검단~장수간 도로 개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이는 ‘지속가능한 도시비전제시, 인구계획 수정과 대규모 개발계획 재검토’라는 변경안의 입안 취지가 크게 훼손하는 것으로 인천내륙 유일 자연녹지의 훼손으로 인천시민들의 환경권을 심각하게 침해하는 중부광역간선도로계획은 완전 폐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지난 2010년 6·2지방선거 당시 후보였던 송영길 시장도 검단~장수간 도로계획을 폐지하고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의 교통혼잡 해결방안으로 새로운 도로신설이 아닌 기존도로의 확장 등을 공약했음에도 인천시가 검단~장수간 도로와 같은 노선(선형)의 중부광역간선도로계획을 도시기본계획변경안에 포함시킨 것은 납득할 수 없는 일”이라고 비난했다.
이어 “새로운 도로는 더 많은 자동차를 양산해 에너지고갈, 환경오염뿐 아니라 전지구적인 기후변화를 부채질할 뿐으로 검단~장수간의 중부광역간선도로는 ‘고탄소, 녹색파괴’도로일 뿐 아니라 ‘혈세낭비, 생명파괴’ 도로계획으로 폐기돼야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검단장수간도로를 중부광역간선도로라 이름만 바꿔 추진하는 것은 경인운하, 계양산골프장보다 훨씬 심각하게 인천시민들의 생존권과 환경권을 위협하는 막개발사업으로 계속 추진된다면 다시 한 번 전시민적인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이라며 “인천의 남북간 도로망은 외곽순환도로의 활용방안과 봉수대로, 장제로 등 기존 남북도로의 확충과 보완을 우선 검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표명했다.
한편 시 관계자는 “지난 9일 공청회에서 다뤄진 2025 인천도시기본계획변경안에 들어있는 중부광역간선도로 계획은 일절 당초대로 변경한 것은 없으며, 기본계획안에 중부광역간선도로 계획안이 존치하고 있어도 국가기본계획이 인천시기본계획에 우선하기 때문에 국가계획의 결정이 없는 한 시행할 수 없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