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시민사회단체, 인천시의회 및 중구의회의원과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인천내항8부두 시민광장추진위원회(이하 추진위)는 내년 4월로 사용계약이 끝나는 인천내항 8부두를 시민광장으로 개방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24일 추진위는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인천내항의 소음과 분진 등 환경공해피해로 40년동안 온갖 정신적 물질적 피해를 입어 온 주민의요구와 대책으로 북항이 개발된 만큼 TOC(화물하역업체)사들은 더 이상 연장을 획책하지말고 시민광장으로 조성에 주민에게 돌려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성명을 통해 추진위는 “지난 2007년 4월 고철부두가 이전하면서 당시 시민공간으로 조성키로 약속했던 인천내항 8부두가 시민들이 방심하는 사이 2013년 4월까지 연장 계약돼 벌크화물부두로 현재까지 사용됨으로써 주민들은 환경공해피해로 시달려왔다”며 “북항이 개발돼 즉시 이전 가능함에도 민간투자 보전방식으로 개발돼 스스로 운영을 기피하며, 구비를 지원받고 8부두에서 사업이익을 챙기는 하역업체는 지탄받아 마땅하고 이를 방관해 국고를 손실케하는 국토해양부와 항만공사도 비난받아 마땅하다”고 싸잡아 비난했다.
특히 “개항 130년이 되는 도심한복판에 전세계에 어느 곳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원시적인 벌크화물 부두를 더 이상 국토해양부와 항만공사, 그리고 양심 없는 하역업체가 스스로 비워주길 기다릴 수 없어 인천시민들이 분연히 나섰다”고 강조했다.
추진위는 “8부두 하역사 임대종료와 함께 8부두를 시민광장으로 조성해 즉각 시민에게 환원하고 국토부와 항만공사는 시민광장 조성을 위해 인천시와 중구으로 관리 이전대책을 세울 것과 인천시와 중구도 8부두를 시민광장 조성을 위한 후속대책 마련할 것”을 촉구했다.
아울러 “8부두 하역업체들은 이전대책은 물론 40여년간 시민에게 피해를 준 고통에 대해 사과하고 보상책을 제시할 것과 항만공사도 오는 6월 30일까지 8부두 시민광장 조성계획을 제시하지 않을 경우 인천시민의 강력한 저항에 부딪칠 것”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