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의왕·군포 등 안양권과 의정부·동두천·양주의 의정부권에 대한 통합 권고가 사실상 확정되는 등 지방행정체제 개편이 구체화되고 있다.
특히 지방행정체제 개편의 상징으로 정부가 강력하게 추진하던 수원·화성·오산 등 수원권 통합안은 ‘보류’된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공식 발표 전에 일부 내용이 유출되면서 찬반 논란이 뜨겁게 재점화되고 있다.
12일 지방행정체제개편추진위원회 등에 따르면 지난 8일 비공개로 본회의 임시회를 개최해 수원·화성·오산을 비롯해 안양권(안양·의왕·군포), 의정부권(의정부·양주·동두천) 등 도내의 3개 통합안에 대해 심의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비상한 관심을 모았던 안양권 등 통합 대상 전국 36개 지자체의 여론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각종 자료 등에 대한 검토가 진행된 것으로 전해졌다.
회의 결과 안양권과 의정부권 등은 사실상 통합 추진이 결정됐으며, 화성지역 여론조사 결과가 과반에 못 미친 것으로 나타난 수원권은 논란끝에 표결을 통해 통합안이 부결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개편위는 13일 이번 결정에 대해 공식 브리핑을 갖기로 했으며, 청와대 보고와 함께 원구성이 끝나는 대로 국회에 보고한다는 계획으로 있어 안양권·의정부권에 대해서는 예정대로 통합 권고가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개편위 관계자는 “지난 8일의 회의 내용과 주민 여론조사 결과는 현재까지 비공개”라면서 “일부에 알려진대로 화성시 여론조사 결과 통합 찬성이 40%대에 불과해 수원권 통합이 보류된 것 외에 안양권 등의 통합 추진은 긍정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방행정체제개편위원회의 공식 발표도 없이 일부에 의해 통합과 무산 결정이 전해지면서 찬반 양측은 모두 강하게 반발했다.
특히 개편위가 여론조사 결과에 대해 비공개로 일관하면서 정치적 판단의 개연성에 대한 우려마저 커지고 있다.
수원·화성·오산 통합시민추진위원회 관계자는 “개편위의 공식 발표나 여론조사 결과의 공개도 없는 가운데 전해진 내용들은 동의하기 어렵다”면서 “개편위는 여론조사 결과를 조속히 공개해 각종 의혹들을 해명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공식적으로 아무런 내용도 통보받지 못했다”는 각 지자체들 간의 입장도 엇갈렸다.
수원시는 “지난 2000년과 2009년 통합 찬성이 압도적인 상황에서도 아픔을 겪었던 만큼 주민투표 등 통합을 계속적으로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고, 화성시는 “즉각적인 환영 입장으로 독자 발전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오산시는 공식 입장을 보류했다.
한편, 개편위의 13일 결과 발표와 함께 수원권은 물론 안양, 의정부 등 도내 9개 지자체의 찬·반 논란도 뜨겁게 달아오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