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25일 당헌·당규에 정해진 현행 경선 룰에 따라 8월19일 대선후보 경선 실시, 다음날인 20일 대선후보자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열기로 확정하면서 ‘경선룰’을 둘러싼 당내 갈등으로 사실상 ‘반쪽 경선’으로 치닫고 있다.
새누리당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김영우 대변인이 전했다.
김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당헌·당규가 변경되지 않는 현 상황에서는 경선을 8월19일로 치르는 것으로 의결했다”면서 “이렇게 되면 후보자 선출 전당대회는 다음날인 8월20일이 된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당헌·당규를 바꾸는 문제에 대해서는 당 지도부와 예비주자들 간의 논의 가능성을 열어두겠다는 의결도 있었다”고 설명했다.
친박(친박근혜) 성향의 당 지도부가 경선일을 그대로 확정하면서도 비박(비박근혜)계의 반발을 의식, 경선 룰의 변경여지를 남겨둔 셈이다.
이 같은 결정에 대해 친이(친이명박)계 심재철 최고위원은 최고위 도중 회의장을 박차고 나오는 등 강력 반발한 것으로 전해졌다.
심 최고위원은 회의에서 8월 런던올림픽을 감안해 경선일을 한 달 이상 미뤄 지역별 순회경선을 실시하고, ‘2:3:3:2’(대의원:책임당원:일반국민:여론조사)의 선거인단 구성을 국민의견 반영비율을 확대하도록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비박주자인 김문수 경기도지사, 정몽준 전 대표, 이재오 의원은 경선룰을 변경해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도입되지 않으면 ‘경선 불참’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어 불출마가 확실시된다.
박 전 위원장은 7월초 후보등록과 함께 출마를 공식 선언할 가능성이 높다.
임태희 전 대통령실장은 이미 출마 입장을 밝혔고, 안상수 전 인천시장은 이날 당 사무처에 경선예비후보로 등록했다. 경남지사를 지낸 김태호 전 의원도 출마 의지를 내비쳤다.
하지만 경선 일정이 확정됐지만, 어떤 형태로든 3파전 이상의 구도가 되더라도 박 전 위원장과 대립각을 형성했던 비박 진영의 불참으로 ‘반쪽 경선’의 모양새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 때문에 사실상의 ‘경선 무산’과 함께 경선 선거운동이 런던올림픽 기간과도 겹쳐 흥행없는 박 전위원장의 ‘추대용 전대’로 이어질 공산이 높은 실정이어서 향후 비박주자들의 행보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