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30일부터 닷새간 전곡항에서 열린 경기국제보트쇼의 관람객 승선용으로 화성시에서 제작비를 지원한 황포돛배가 인수 과정에서 침몰, 선장과 기관장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한 사실이 뒤늦게 알려지면서 말썽을 빚고 있다.
특히 시가 황포돛배 사업을 전곡항어촌계에 떠넘기며 나몰라라 식의 태도로 일관한데다 전곡항어촌계도 비용 절감 등을 이유로 무리수를 뒀다가 빚어진 인재(人災)라는 지적마저 제기돼 논란이 일고 있다.
2일 화성시와 전곡항어촌계 등에 따르면 시는 ‘2012년도 어촌체험관광시설’사업의 일환으로 황포돛배 사업을 추진, 지난 1월 사업자 선정을 시작해 5월20일까지 건조를 마친 후 경기국제보트쇼 행사기간에 관람객의 범선 시승체험행사에 사용하기로 했다.
시와 전곡항어촌계는 ‘탁송료 절감’을 이유로 지난 5월20일 부산의 한 조선소에서 건조를 끝낸 황포돛배를 직접 인수했다.
전곡항어촌계 소속 김모(65)씨와 최모(65)씨는 인수 이후 5월22일 오전 5시쯤 직접 전곡항까지 운항에 나섰지만, 23일 전남 해남 앞바다에서 160t급 예인선과 충돌하는 사고로 황포돛배와 함께 침몰해 결국 사망했다.
이후 시와 어촌계는 5월28일 해남군 화원면 임화도 남쪽 2마일 해상에서 침몰한 황포돛배를 인양, 김모(65)씨 등 2명의 시신을 수습하는 한편 인양한 황포돛배는 오는 8월 재사용을 위해 수리중인 상태다.
황포돛배의 사고로 애꿎은 2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면서 사고를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유가족 등은 도와 시가 예산 일부를 지원했음에도 어촌계에만 일을 떠넘기면서 3개월여만에 급하게 배를 건조한 점, 황포돛배의 재질이 목선이 아닌 FRP로 결정된 점, 통상적인 관례를 깨고 어촌계가 직접 부산까지 인수하러 간 사실 등을 근거로 관리·감독 소홀에 따른 예고된 인재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유가족 A씨는 “배를 건조하면 선박제조회사에서 계약자가 있는 곳까지 탁송해 주는 것이 원칙”이라며 “어떻게 현지 바다상황을 전혀 모르는 사람들에게 직접 배를 운항해 가져오라고 했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유가족 B씨는 “전통적인 돛배라면 목재로 건조해 돛을 사용해 운행을 하는게 맞는 거 아니냐”며 “시가 수억여원의 예산을 지원해놓고 관리감독에는 손을 놓은 채 그저 경기국제보트쇼에 어떻게든 맞추려고 무리하게 추진해 결국 아까운 목숨만 앗아간 일이 발생한 것 아니냐”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예산만 지원했을 뿐 사고에 대한 책임은 없고, 사고 발생 후 유가족에게 시가 할 수 있는 조치는 다 한 상태”라고 밝혔고, 전곡항어촌계 관계자는 “황포돛배의 탁송료를 줄여 비용절감을 위해 직접 배를 인수한 것”이라고 말했다.한편 침몰한 황포돛배는 전곡항어촌계 자비 2억5천350만원과 시비 1억7천750만원 등 총 5억700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19t급, 최대 탑승인원 52명 규모로 제작해 관광객 대상의 전통선박 승선체험 등으로 주민들의 어업 외 소득증대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운행할 계획이었다. %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