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아침 詩산책]심창만"닭이 운다"

새벽은 등으로 터진다

날갯죽지에 고개를 처박은

간절한 능선,

등은 목보다 길다

새벽달이 올라앉은

서늘한 횃대



누가, 나를

양푼처럼 끌어안고

쌀을 안친다

오래오래 밥이 될

깜깜한 능선

목젖도 아궁이도 많이 부었다



십 리 밖까지 등이 휘도록

싸락눈 털네어내며

닭이 운다

- 심창만 /2003년 봄호/ 문학동네





 

 

 

긴 긴 밤을 지새며오는 새벽은 긴장감이 가득 차 있다. 목 보다 더 긴 닭의 등이 그 과정을 보여준다. 이 긴장감을 해소시켜 주는 것이 닭 울음이다. 그러나 닭 울음은 그리 쉽게 터져 나오는 것은 아니다. 깊은 겨울을 건너는 인동초 같은 끈질긴 생명력이 바탕이 되어 닭 울음이 터져 나온다. 닭 울음이 터지면 시인은 공손한 솥이 된다. 밥이 되는 주체보다는 밥을 짓는 솥이 된다. 밥물이 끓어 넘칠 때까지 밥이 뜸 들여질 때까지 불과 쌀의 중간 매개인 솥을 자청한다. 이것은 밥 퍼주는 마음과 같은 것이다. 이 과정에서 십 리 밖까지 등이 휘도록 울어주는 닭은 시인에게 보내주는 갈채이다. 응원이다. 닭은 새벽의 찬란함을 아침이 희망적임을 깊게 각인 시켜 준다. 나도 볏 붉은 수탁으로 횃대에 올라 개벽이 오도록 홰를 치고 싶다. 이것은 암울한 한 시대를 사정없이 털어대려는 모두가 가지고 싶은 몸부림 일 것이다. /김왕노시인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