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8·2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선거가 한주도 남지 않은 27일 정청래·박찬대 당대표 후보가 “국민의힘 당대표 후보 가운데 파트너로 삼을 만한 인물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양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KBS 신관 공개홀에서 열린 2차 TV 토론회에서 다음 달 선출될 국민의힘 당대표 중 호흡이 잘 맞는 사람을 묻는 공통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정 후보는 “내란 척결이 우선”이라며 “국민의힘은 과거 통합진보당 해산 사태 때보다 (사안이) 100배, 1000배 위중하다”고 날을 세웠다.
박 후보도 “내란 세력과는 협치도 타협도 절대 없다”며 “국민의힘을 해체하고 당을 새롭게 만들겠다는 사람이 나온다면 그때 생각해 볼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를 비롯해 이날 두 후보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에 대해서도 “당당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30개월 이상 미국 소고기 수입 개방에 모두 완강한 반대 입장을 보였다.
박 후보는 미국이 협상 과정에서 30개월 이상 소고기 수입을 요구하는 것에 대해 “광우병과 관련한 국민 감정선을 건드리는 문제다”라고 꼬집었다.
정 후보도 마찬가지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방적인 양보를 요구하고 있다”며 “(먼저 관세 협상을 진행한) 일본보다 더 나은 협상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사법개혁 방안으로는 판검사 징계 입법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정 후보는 “판사들은 무죄를 유죄로, 유죄를 무죄로 때려도 처벌이나 불이익을 받지 않는다”며 법원조직법 개정안을 발의해 판사도 징계하겠다고 주장했다.
박 후보도 판사를 향한 제대로 된 상벌 규정이 없음을 지적했다. 그는 “법을 잘못 해석하거나 조작하는 검사와 판사는 분명히 징계해야 한다”며 ‘법 왜곡죄’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과의 관계에 대해 정 후보는 “운명공동체이자 순망치한의 서로 보완하는 관계”라고 했고, 박 후보는 “시만트와 모래처럼 잘 섞일 때 큰 효용가치가 있다”고 비유했다.
한편 두 후보는 토론회 이후 명심(明心, 이재명 대통령의 의중)을 사이에 두고 신경전을 이어갔다.
정 후보는 이날 토론을 마친 뒤 기자들로부터 ‘강선우 의원 사퇴 과정에서 박 후보가 명심을 반영한 게 아니냐’는 질문에 “누가 그러냐. 과학적인 질문이냐”고 반발했다.
반면 박 후보는 기자들에게 “강 의원에 대한 사퇴 요구는 어떻게 하면 대통령의 부담을 줄일 수 있을지를 판단 기준으로 둔 것”이라고 설명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