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대선 경선후보들이 24일 처음으로 TV토론회에서 맞붙었다.
이날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상3사 주최로 열린 합동 TV토론회에선 박근혜 전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비박(비박근혜) 주자 4인의 합공 질문공세가 펼쳐졌다.
우선 김문수 경기지사는 “출마선언에서 국정운영 기조를 국가에서 국민 위주로 바꾸겠다고 하는데 이는 국가와 국민을 대립시키는 것으로 포퓰리즘이라고 본다”고 포문을 연 뒤 “경제민주화 3대 과제가 과연 국민행복을 위한 3대 과제냐, 우리 기업이 발전하려면 효율성과 공정성, 모두 중요한데 이를 대립시키는 것”이라고 몰아세웠다.
이에 박 전 위원장은 “(김 지사가) 대립을 좋아하는 듯하다”며 “국민과 국가는 따로 가는 게 아니라 국민 역량을 최대한 발휘할 때 합이 모아져 국가발전으로 이어지고 선순환이 된다는 것”이라고 맞받았다.
이어 김 지사는 최근 아들과 함께 홍콩으로 연수를 떠난 박 전 위원장의 올케 서향희 변호사를 언급, “‘만사올통’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냐. 만사가 형(兄)으로 통하다가 이제 올케에게 다 통한다는 말”이라며 “36세의 젊은 변호사가 26명을 거느리는 대규모 로펌의 대표를 하면서 비리로 영업정지된 삼화저축은행의 법률고문을 맡았다가 대선을 앞두고 갑자기 홍콩으로 출국했다”고 언급했다.
박 전 위원장은 “조카가 외국에 연수간 것까지 도피성이라고 해 좀 미안한 생각도 든다”면서 “법적으로나 어떤 면으로든 잘못된 비리가 있다면 벌써 문제가 됐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임 전 실장은 ‘5·16은 아버지의 불가피한 최선의 선택’이란 발언 등 박 전 위원장의 역사인식을 거론했다.
그는 “올바른 역사인식이야 말로 국민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기초”라며 “대통령이 되면 5·16을 쿠데타로 규정된 역사교과서를 개정할 의향이 있느냐”고 물었다.
박 전 위원장은 “제가 한 얘기에 대한 최근 여론조사 결과 제 발언에 찬성하는 분이 50%를 넘었다”며 “역사인식을 달리하면 통합할 수 없다고 하는데 이는 50%가 넘는 잘못된 국민이니까 버리라는 얘기가 된다”고 반박했다.
김태호 의원은 “세계 금융위기 상황에서 우리 재정 우선 순위가 과연 고등학교 무상교육, 사립고교에 1천만원까지 등록금을 내는 학생에게도 국가가 재정을 지원해야 하느냐”며 박 전 위원장이 제시한 각종 정책의 재원 대책을 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