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같은 사업이지만 여러 부서로 흩어져 실시돼 효과를 거두지 못한 마을단위 개발사업에 대한 전면 수정을 위해 메스를 들었다.
29일 도에 따르면 도는 농업정책과, 주택정책과 등 14개 부서에 총 2천924억을 투입 진행했음에도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소도읍 육성, 어촌종합개발, 생활환경정비, 농촌종합개발 등 33개 사업을 ‘융합적 마을만들기 사업’으로 통합해 관리한다.
이에 도는 ‘경기도 마을만들기 지원조례’를 제정, 다음달까지 김성렬 행정1부지사를 단장으로 한 ‘마을만들기 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전담 조직인 ‘농어촌 지역발전 담당’을 신설하고 31개 시·군에 지원센터를 둬 관리한다. 이번 사업은 주민이 사업계획을 마련해 응모하면 위원회가 이를 심의한 뒤 지원하는 방식으로 진행되며, 전담 조직과 센터에는 민간전문가가 배치돼 사업을 돕는다. 이와 함께 도는 오는 9월까지 구체적인 실무지침을 만들고 공모에 들어가 오는 2013년부터 본격 추진하게 된다.
도는 이번 사업의 재수정을 통해 그동안 드러났던 중복지원 등 각종 문제점들이 줄어들고 원활한 예산투입, 마을·지역별 다양한 요구 등을 수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큰 기대를 갖고 실시한 사업이지만 기대만큼이나 효과를 거두지 못해 통합관리해 도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가도록 하기 위해 다시 기획하게 됐다”며 “주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듣고 해당 마을에 가장 필요한 것을 총체적으로 점검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