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경기도지사가 팔당호 녹조 발생과 관련,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가 물 값을 받으려면 수질개선도 신경써야 한다”며 정부에 쓴 소리를 하고 나섰다.
김 지사는 지난 10일 팔당호 선착장, 하남정수장, 한강유역청을 차례로 방문해 녹조 발생현황과 대응책을 살피는 자리에서 “국토부와 수자원공사는 물 값은 받아가면서 수질개선에는 관심이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어 “원수자체에 녹조가 생겼는데 물 값을 안 받으면 경기도가 (그 돈으로) 고도정수처리시설을 하면 된다”며 “하지만 물 값은 다 받아간다. 시장 원리로 보면 안 맞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특히 “(국토부와 수공이) 물 값이라도 좀 깎아주던지 아니면 수질개선이나 정수처리시설 비용을 지원해 주던지 해야 한다”며 “무조건 먹는 사람이 알아서 하라는 것은 책임이 없는 말 같다”고 강조했다.
수자원공사가 팔당호와 접한 도내 7개 시·군에 팔당댐 용수 사용료로 톤당 47.95원을 징수하면서 팔당호 수질개선 사업에 돈을 쓰지 않는 것을 염두에 두고 한 말이다.
수공은 이들 시·군이 징수가 부당하다며 138억원의 댐용수료를 내지 않고 버티자 소송을 제기, 지난 7월5일 1심에서 승소하는 등 양 측의 대립이 심화되고 있다.
이번 녹조현상의 심화 원인으로 폭염과 북한 인남댐(금강산댐) 방류량 감소 등을 꼽은 김 지사는 “방수량 자체가 줄어든 것처럼 지금까지 없던 자연재해는 지차체가 해결할 수 없다”며 “복지, 보육, 급식 등으로 재정이 어려운 지자체를 정부가 도와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자연재해 등 특수 상황 시 물 값 인하, 수질개선 및 정수처리시설비용 지원 등을 제안했다.
한편, 도는 녹조 발생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그동안 지자체가 운영하는 지방정수장의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을 요구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