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8 (월)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5%만 갚으면…’ 카드 리볼빙 신불자 양산

(사례1) 회사 사정이 좋지 않아 월급이 제때 나오지 않으면서 카드값을 연체하게 된 직장인 L씨는 카드사의 권유로 리볼빙 서비스를 이용하게 됐다. 하지만 계속된 카드사용과 함께 연 28%에 달하는 리볼빙 금리를 감당하지 못하게 된 L씨는 신용등급이 바닥으로 내려갔고, 개인워크아웃 신청을 준비 중이다.

(사례2) 직장인 K씨는 지인의 소개로 A카드사 컨설턴트를 통해 카드를 신청하게 됐다. 컨설턴트는 리볼링 제도에 대해 설명하며 이용을 권했고, K씨는 개인적 사정으로 카드사용액이 많았던 달에 리볼빙 서비스를 이용하곤 집으로 날아온 카드명세서를 보고 깜짝 놀랐다. 금리가 너무 높았기 때문이다.

업계 장점만 부각 사용권장 이용자 중 저신용자 100만명 육박

신용카드사의 리볼빙 서비스가 결제 편의성 제고 등 본 취지와 다르게 카드빚을 돌려막는 수단으로 이용되면서 서민들을 신용불량자의 늪으로 밀어넣고 있다.

특히 리볼빙 서비스 이용자 중 신용듭급이 7등급 이하인 저신용자들이 적지 않은데다 카드사들이 선진결제 서비스라는 장점만을 부각, 리볼빙 이용을 권장하고 있어 카드업계가 앞장서 신용불량자를 양산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일고 있다.

15일 금융당국 및 카드업계에 따르면 리볼빙(revolving)은 카드 사용액의 5∼10%만 갚고, 나머지 금액은 일정한 수수료를 내고 상환을 미룰 수 있는 제도로, 카드대금 결제일과 급여이체일이 맞지 않거나 일시적으로 자금 유동성이 떨어졌을 때 결제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도입됐다.

1999년 국내에 처음 선보인 리볼빙 서비스 이용자 수는 2007년 말 190만명에 불과했지만 현재 290만명에 달하고 있으며, 3조5천억원이었던 리볼빙 이용 잔액도 6조원에 육박하고 있다.

문제는 리볼빙 서비스 이용자 중 7등급 이하 저신용자들이 100만명에 이르고 있다는 점이다. 리볼빙 사용자 10명 중 3.5명 정도인데, 이 가운데 리볼빙 이자 부담으로 카드를 돌려막다 채무 불이행자로 전락한 사례가 적지 않다.

연간 20~30%에 달하는 높은 리볼빙 이자를 내다 보니 연체율도 높다. 실제 리볼빙 연체율이 카드 전체 연체율보다 1%p 높은 3.1%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카드사들은 이러한 리볼빙 서비스의 이면보단 장점을 부각하며 고객들에게 오히려 사용을 권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리볼빙의 최소 결제비율(5~10%)을 올려 리볼빙의 문턱을 높이고 금리를 낮추는 등 제도 개선에 나섰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이 나올 지 미지수다.

금융업계 관계자는 “금리를 낮추거나 결제비율을 높이는 방안도 중요하지만, 회원 자격 심사를 보다 강화해 신용등급이 낮은 이들에겐 리볼링 서비스 이용을 엄격하게 규제해야 한다”며 “카드사들도 이익 창출을 통한 ‘배불리기’에만 몰두하기 보단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대책 마련에 동참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