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후보는 28일 원주 인터불고 호텔에서 열린 강원지역 경선에서 선거인단 유효 득표수 6천187표 가운데 2천837표(45.85%)를 득표, 2천328표(37.63%)를 얻는데 그친 손학규 후보를 제치고 선두를 내달렸다.
그 뒤를 이어 김두관 후보가 678표(10.96%)를 얻어 3위를 차지했고, 정세균 후보는 344표(5.56%)로 4위에 머물렀다.
문 후보는 지난 25∼26일 제주, 울산에 이어 강원까지 3개 지역의 경선 결과를 합산한 누적 득표에서도 1만9천811표(55.34%)를 득표, 나머지 세 후보를 압도하는 3연승을 기록하면서 민주당 대선후보에 한발짝 더 다가서게 됐다.
그는 이날 경선 결과 발표 후 “이겼지만 기뻐할 수 없는 상황이다. 한편으로 마음이 답답하다”면서 “1위라는 결과보다 더 중요한 것은 경선에서 정권교체의 강력한 힘을 만들어내는 것”이라고 소감을 밝혔다고 진선미 대변인이 전했다.
이는 모바일투표 공정성 시비에 따른 울산 경선의 파행에 이어 전날 손 후보측이 공개한 문 후보 캠프의 ‘모집 선거인단 전화투표독려팀 운영지침’이라는 제목의 내부 문건을 놓고 ‘이해찬-문재인 담합’의 증거라고 주장, ‘불법 콜센터’ 논란으로 공직선거법 위반 공방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손학규·김두관 등 ‘비문’ 후보측은 “선거법 위반”이라며 거듭 진상조사를 촉구하고 나섰고, 이에 맞서 문 후보측은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하는 등 공방을 계속했다.
손 후보측 김영춘 전략기획본부장은 “해당 문건은 문 후보 캠프의 경선대책 총괄본부가 지난 24일 지역위원장 등 71명에게 발송한 이메일에 첨부된 것으로 선거법에 금지된 불법 콜센터 운영지침이 담겨 있다”고 주장했다.
김 후보 선대위도 이날 성명을 내고 “문건에서 드러난 ‘전화투표독려팀’ 운영은 사실상 콜센터를 운영해 지지를 유도한 불법선거나 다름없다”며 당 선관위의 단호한 조치를 요구했다.
그러면서 지난해 4월 강원지사 보궐선거 당시 한나라당 엄기영 후보의 ‘강릉 콜센터 불법선거 운동’과 비교하면서 “본질적으로 다를 게 없다”고 압박수위를 높였다.
현행 공직선거법(57조 및 60조)은 당내 경선에서 전화 통화방식으로 지지를 호소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중앙선관위도 이에 대한 조사에 나설 방침을 밝혀 조사결과가 주목된다.
한편 민주당은 오는 30일 충북, 내달 1일 전북, 2일 인천에서 차례로 순회경선을 실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