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송도에 위치한 동아시아-대양주 철새 이동경로 파트너십 사무국(EAAFP) 스파이크 밀링턴(Spike Millington·사진) 사무국장은 3일 서울프레스 센터에서 열린 황해지역 갯벌 관련 브리핑에 참석해 “황해의 갯벌이 사라지면 이동성 물새도 멸종된다”고 주장했다.
황해지역 갯벌은 매년 급속도로 감소하고 있는 도요·물떼새의 중간 기착지로서 대단히 중요한 지역이며, 장거리 비행하는 큰뒷부리 도요는 뉴질랜드와 호주 동부에서 북상해 쉬지 않고 1만3천㎞ 날아 황해지역에 들려 약 한달 반 동안 영양분을 비축한 다음 또 다시 알래스카까지 7천㎞을 날아간다.
또한 미국 어류야생동물관리국에서는 큰뒷부리도요 외 흰부리아비, 아비, 민물도요와 메추라기도요 등이 알래스카(번식지)에서 동남아시아 및 대서양(월동지)까지의 비행을 위해 황해지역 갯벌을 먹이 활동에 이용하고 있으며, 황해 갯벌의 손실로 인한 알래스카를 찾는 이동성 물새 개체의 직접적인 감소가 보고된 바 있다.
이에 밀링턴 사무국장은 “모든 철새는 각기 다른 이동경로를 가지고 있으며, 이동경로는 천만년 전 철새의 창조와 동시에 결정되기 때문에 황해 갯벌이 사라지고, 철새가 사라진다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이 아니라 갯벌에 의존하던 이동성 물새도 멸종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은 이동성 물새와 서식지를 보호하기 위해 러시아의 극동지방과 알래스카로부터 한반도 등 동아시아를 경유해 호주, 뉴질랜드에 도달하는 철새이동경로 전반에서 각국 정부, 국제기구, 다자간 환경협정 및 비정부기구(NGO) 등 27개 파트너가 참여하는 이해 당사자들 간에 대화와 협력증진을 위한 협의체이며, 지난 2009년 7월부터 대한민국 환경부와 인천시의 지원으로 운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