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 교육기관으로 설립됐던 영어마을은 저소득층 학생에게 국내에서 해외 어학연수에 버금가는 영어교육을 제공하자는 취지로 시작됐으나 최근 고액 사교육 장소로 전락, 설립 취지를 무색하게 하고 있다.
특히 지난 2004년부터 전국 곳곳에 생겨난 뒤 수익성 악화에 고전하는 영어마을이 불법·편법 고액 사교육 장소로 전락한 사실이 교육 당국의 점검 과정에서 드러났다.
경기도교육청은 10일 서울 강남의 한 학원을 학원법 위반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이 학원은 교육 당국에 등록하지 않고 고교생 113명을 대상으로 8주 교습비 1천640만원인 미국 대입수능(SAT) 강좌를 개설하는 수법으로 영어마을서 불법 고액 기숙형 캠프 운영한 혐의를 받고 있다.
불법 고액 강좌가 이뤄진 곳은 경기도가 2008년 문을 연 경기 영어마을 양평캠프다.
저소득층을 위해 설립된 공공교육기관이 고액 과외에 자리를 빌려준 셈이다.
양평캠프는 지난해 국정감사 때도 수업료 수천만원에 달하는 고액과외 장소로 변질됐다는 지적을 받았다.
당시 경기도가 민주통합당 최규식 국회의원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양평캠프에서는 캠프의 위탁을 받은 민간 교육기관이 연간 수업료와 기숙사비를 합쳐 2천490만원에 달하는 유학대체 국제학교형 프로그램을 운영한 것으로 밝혀져 문제가 됐다.
파주캠프도 지난해 6월 강남의 한 영어학원에 맡겨 학생 1인당 교습비 1천540만원인 ‘SAT섬머캠프’를 8주간 운영하도록 한 것으로 드러났다.
영어마을이 본연의 취지에서 벗어나 영어마을 ‘우후죽순’ 생겨나며 수익성 악화되며 부작용도 잇따르고 있다.
고액 과외로 전락하고 있는 영어마을이 크게 증가하며 만성 적자에 허덕이고 있다.
경기도는 안산캠프, 파주캠프, 양평캠프 등 3곳의 영어마을 중 파주를 제외한 2곳을 2008년부터 민간에 위탁해 운영하고 있다.
눈덩이처럼 늘어나는 적자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운영을 민간에 맡겼다.
파주캠프도 지난해 민간위탁을 고려하다 직영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파주캠프의 연간 운영비 100억원 중 2009년 37억원, 2010년 40억원, 지난해 27억원을 경기도가 지원했다.
경기도 평생교육과의 한 담당자는 “너무 많은 영어마을이 생겨 한쪽에 학생이 몰리면 다른 쪽은 학생이 줄어 적자를 면하기 어려운 형편”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