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발하는 학교에서의 식중독에 인천교육청이 근본대책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인천시교육청은 최근 인천지역 7개 학교에서 식중독이 발생함에 따라 식중독 제로화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 시행키로 했다.
19일 시교육청에 따르면 개학이후 전국 21개교에서 식중독이 발생했으며, 9월 중 식중독이 발생한 인천 관내 7개교의 식중독 원인이 동일한 업체에서 납품한 김치가 원인으로 확인됐다.
이에 시교육청은 식재료 납품업체의 위생관리 등 식중독 제로화를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시교육청은 이번 식중독 발생전인 지난달 30일부터 수차례 학교급식에서 겉절이 등 비가열 식품을 배제하도록 학교에 지시해 왔으며, 제조일로부터 일정기간 이상 숙성된 김치를 제공하거나 가급적 가열해 제공하는 등 식재료 위생관리에 철저를 기할 것을 당부해 왔다.
그럼에도 식중독이 발생함에 따라 오는 21일 각급학교 영양(교)사 대상 직무연수를 실시해 ‘손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 등 식중독 예방 3대 요령 전달과 식재료 검수·조리·배식 등 급식 전 과정의 위험요인을 중점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지역교육청과 식중독 관련 대책 협의회를 개최해 식중독 발생교에 대한 사후 관리 방안 및 식중독 예방을 위한 개선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며, 식재료 납품업체 관리를 위해 지역교육청의 ‘학교급식점검단’을 통합 관리 시스템으로 개편, 학교와 거래하는 모든 식재료 납품업체 점검을 실시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부적절한 업체는 조달청의 불량업체 신고센터와 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사후관리시스템을 활용해 학교에서 우수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식품법령 위반업체 명단과 농림수산식품부에서 인정한 우수 업체 명단을 홈페이지에 홍보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