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반으로 접어들고 있는 이번 국정감사에서 민주통합당 이찬열(수원갑·사진) 의원의 활약상이 눈에 띄고 있다.
이 의원은 지난 18대 국회에서 환노위, 국토해양위를 거쳤고, 이번 19대 국회에서는 행정안전위원회를 선택했다. 이는 ‘행안위’야 말로 내치(內治)의 중심에 서 있어 ‘생활밀착형 상임위’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특히 그는 ‘수원갑(장안)’을 지역구로 두고 있어 경기도와 수도권의 발전이라는 정치적 소신을 실현하기 위해 행정안전부와 경기도 등을 소관기관으로 두고 있는 행안위를 선택한 이유다.
이 의원은 행정안전부 국감에서 수원 등 100만 이상 대도시에 대해 국가정책적 차원에서 조직모델 마련에 나설 것을 촉구하며, 정책자료집을 통해 구체적 대안을 제시했다.
또 이명박 정부 들어 지방재정이 악화됐음을 다양한 통계자료를 통해 입증했다.
경찰청 국감에서는 도내 인구나 범죄 발생이 서울보다 많지만 경찰인력이 크게 부족해 증원이 시급한 점을 지적했으며,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비위로 징계를 받은 경찰관수가 크게 증가했음을 밝히고 강력한 자정 노력을 촉구했다.
소방방재청 국감에서는 119 장난전화에 대한 처벌률이 낮고 솜방망이 처벌에 그치고 있음을 밝혀냈고,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소방공무원을 국가직으로 일원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찬열 의원은 “남은 국감에서도 철저하게 국민의 편에서 국민의 이익을 대변하고 국민의 삶을 편하게 하는 국감을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