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10년과 2011년 잇따라 발생한 구제역 파동 이후 경기도내에서 구제역 살처분에 참여한 7만여명 중 심리치료를 받은 경우는 564명에 불과, 100명 중 1명 꼴에도 미치지 못했다.
15일 민주통합당 박민수 의원이 농림수산식품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0년 및 2011년 구제역 살처분에 참여한 사람은 전국적으로 모두 12만730명이었지만 실제 치료를 받은 사람은 기껏 총 2천667명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살처분에 가장 많은 인원이 참여한 경기도는 약 7천명 중 0.8%인 564명, 2만428명이 참여한 경북은 2천20명으로 9.8%, 1만1천45명이 참여한 강원도는 60명으로 0.54%만이 치료를 받았다.
전혀 치료를 받지 않은 곳도 많았다. 849명이 참여한 전북, 2천301명이 참석한 경남, 4천554명이 참석한 충북, 227명이 참여한 대전 등은 지역에 심리치료 전담의료기관이 있는데도 치료 실적이 전무했다.
특히 경기도의 경우 전담의료기관은 무려 40개소로 전국에서 가장 많았지만 정작 심리치료를 받은 사람은 100명 중 1명 꼴도 안됐다.
전담의료기관은 전북에 15개소, 경남에 6개소, 대전에 5개소, 충북에 1개소 등이 있었다.
또 2010~2011년 구제역 발병 당시 구제역 감염이 의심되는 육류는 모두 2천348t 정도였으나 이 가운데 폐기된 것은 1천6t으로 의심육류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도내에서는 2010년에 220t 가운데 212t이 폐기됐으나 2011년에는 1천762t 가운데 기껏 627t만이 폐기됐다. 충북은 2010년에 184t 가운데 32t, 2011년 39t 중 36t, 경북은 2010년 21t 가운데 3t, 2011년 29t 중 1t만 폐기되는데 그쳐 이들 폐기되지 않은 의심육류가 시중에 유통됐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박 의원은 “살처분 참여자에 대해 심리치료를 적극적으로 독려하지 못한 것도 문제이지만 폐기돼야할 의심육류의 유통을 방치한 것은 더 큰 문제”라며 “구제역 발생 당시의 조치부터 방역체계 전반에 대한 점검과 사후조치를 보다 강화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