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시흥국제캠퍼스 조성 사업이 지난 2009년 첫 양해각서 체결 이후 3년째 답보상태를 면치 못하고 있는 가운데 서울대가 ‘용지·시설 무상공급’의 전제조건 입장을 재확인하고 나서 백지화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더욱이 서울대측이 구체적인 사업 로드맵은 제시하지 않은 채 ‘용지·시설 무상공급’ 전제조건만 되풀이해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서울대는 지난 19일 대학행정관 4층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용지와 시설을 제공받는다는 전제 하에 캠퍼스 운영에 필요한 장비, 인력 등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자리에서 오연천 서울대총장은 “국제캠퍼스는 시흥시가 도시개발을 진행하면서 발생되는 개발이익으로 유치하는 사업”이라고 못 박았다.
결국 이 같은 전제조건이 선행되지 않을 경우 캠퍼스 건립추진 자체가 백지화될 수 있다는 해석이다.
서울대는 지난 7월 시흥국제캠퍼스 로드맵을 통해 4천명 규모 학생기숙시설과 600여세대 교직원 아파트, 500병상 규모 병원과 메티컬센터 등 복합시설이 들어설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또 서울대 부속학교, 컨벤션센터, 산학협력 클러스터 등 조성 계획도 내놨다.
하지만 지역 일각에서는 군자배곧신도시 조성 차질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면서 금융권과 건설업체, 주민 등 사업 중단에 대한 문의가 빗발쳤다.
이에 지역 언론인들의 요청으로 이번 간담회 자리가 마련됐지만 명확한 ‘시흥국제캠퍼스 로드맵’ 보다는 기존의 원론적인 답변만 재확인했다.
이와 관련, 이정동 시흥국제캠퍼스 추진단장은 “사업구도가 전제돼야 한다”며 “분명한 계획이 서 있고 사업실행에 대한 의지를 설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대의 이같은 태도에 대해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은 서울대측이 캠퍼스 건립의지가 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2014년 개교할 것이란 김윤식 시장의 ‘공언’도 공염불이 될 공산이 크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