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월 발생한 제주 올레길 살인사건에 놀란 경기도가 부랴부랴 도내 평화누리길과 자전거 도로에 탐방객과 관광객들의 범죄예방을 위한 CCTV 설치에 나서기로 했지만, 세수 부족으로 내년도 예산안의 감액 조정에 나선데다 CCTV 설치비용도 비싸 자칫 공염불에 그치는게 아니냐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25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난 7월말 제주 사건과 같은 유사한 사건에 대비하기 위해 평화누리길과 자전거 도로 등에 CCTV를 설치하겠다고 밝힌데 이어 김문수 지사와 윤화섭 의장, 도의회 양당 대표의원 등이 나서 도내 취약지역에 대한 CCTV 확대 설치를 위한 예산 편성에 적극 나서겠다는 공동 입장을 약속했다.
이어 지난달 14일 열린 제2차 지역치안협의회에서도 치안 강화를 위해 CCTV 설치예산 확대에 한 목소리를 내면서 사업추진이 가속화될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올해 도의 가용예산이 바닥을 드러내면서 사업 전반에 ‘빨간불’이 켜졌다.
도의 내년도 예산안 편성이 올해 규모에 비해 71.4%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돼 안전대책마련 예산도 큰 폭으로 떨어질 것으로 보여 관련 예산의 신청액마저 당초 기대에 못미치는데다 평화누리길 5억여원, 자전거도로 8억8천여만원 등의 CCTV 설치예산도 삭감 편성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북단 접경지역에 조성된 DMZ(비무장지대) 산책로인 평화누리길은 김포~고양~파주~연천 등 184㎞를 잇는 12개 코스로 이뤄졌다.
그러나 이 길은 출입문이 따로 없어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고 불특정다수가 이용하고 있음에도 CCTV나 안내자 등이 배치돼 있지 않아 1일 또는 연간 통계조차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도는 현장점검과 함께 해당 시·군으로부터 취약지역을 보고받아 총 17곳에 대해 CCTV를 설치하기로 하고 내년도 예산에 방범기능과 방문객의 통계도 함께 낼 수 있는 CCTV를 설치하기 위해 5억여원의 예산을 신청했다.
아울러 도내 자전거도로 3천248㎞에 대한 범죄예방 대책으로 취약지역 44개소에 대해 1대에 2천여만원의 CCTV를 추가 설치하기로 하고 8억8천만원을 내년도 예산으로 신청해놓은 상태다.
이 CCTV는 도난 등 절도범죄도 예방할 수 있어 자전거를 즐기는 관광객들에게 유익하게 작용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현재 도내 자전거길이 조성돼 있는 남양주, 양평, 과천, 파주, 군포, 평택 등 6개 시에 설치된 CCTV는 단 39대다.
하지만 새로 개통된 삼남길이나 남한산성 둘레길, 안산 대부 해솔길, 의정부 소풍길, 구리 둘레길, 여주 녹색길 등 녹색탐방길이 대부분 범죄사각에 그대로 방치돼 있는데다 사업 추진시 막대한 설치비용으로 인해 선뜻 나서지 못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현재 CCTV가 범죄 예방은 물론, 범죄해결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라며 “평화누리길과 도내 자전거 도로 등은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관광을 오는 만큼 안전대책의 일환으로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