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을 50여일 앞두고 여야간 투표시간 연장을 둘러싸고 ‘유권자의 권리’라는 주장과 함께 ‘편향적 정치논리’라는 찬반 입장으로 엇갈려 팽팽히 맞서고 있다.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와 무소속 안철수 대선후보가 28일 한 목소리로 투표시간 연장을 요구하고 나섰다.
두 후보는 이날 약속이나 한듯 대선 전에 투표시간 연장법안의 처리를 촉구하면서 다소 소극적인 듯한 태도를 보이는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를 압박하는 모양새다.
안 후보는 이날 공평동 캠프에서 열린 ‘투표시간 연장 국민행동 출범식’에 참석해 “현재 아침 6시부터 저녁 6시까지인 투표시간을 최소한 저녁 8시까지 연장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는 “1971년 정해진 12시간 투표가 40년째 꼼짝하지 않고 있다”며 “100% 대한민국을 말하는 새누리당 박 후보는 100% 유권자에게 투표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누구보다도 앞장서서 선거법 개정에 동참하리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투표시간 연장 국민행동‘ 본부장을 맡은 송호창 공동선대본부장도 “재외국민투표에 따른 비용이 현재 530억인데 지난 4월 총선에서 재외국민 230만명 중 단 5.6%만 등록하고 그 중 2.5%만이 투표했다”며 “투표시간 연장에 따른 비용 부담이 투표시간 연장을 반대하는 근거가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문 후보도 이날 오전 충남 세종시에서 열린 대전·충남·세종 선거대책위원회 출범식에서 “일 때문에 투표하지 못하는 수백만 국민을 투표할 수 있게 하려면 저녁 9시까지 투표시간을 연장해야 한다”며 “박 후보에게 투표시간 연장에 대한 입장이 무엇인지 분명히 밝혀 줄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문 후보 캠프는 지난 3일 투표시간 연장을 위한 특별본부를 설치한 뒤 지난 15일부터 안도현 선대위원장, 유정아 시민캠프 대변인 등이 광화문 광장에서 릴레이 1인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이에 대해 새누리당 박선규 중앙선대위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투표율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보완에 반대할 하등의 이유는 없지만 현행 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선행돼야지 덥석 ‘투표시간을 늘리자’는 것은 대선을 앞둔 정치적 주장”이라고 비판했다.
이정현 공보단장은 여의도 당사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대선을 50일 앞두고 투표시간 연장을 주장하는 것은 뜬금없는 것”이라고 반박한 뒤 대선 당일 평균 일몰시간이 오후 5시14분인 만큼 투표시간 연장은 도서·산간 지역에서 위험한 일이 될 수 있고, 관련 비용이 중앙선관위 추산 관련비용도 100억원에 달하며 비정규직도 현 제도에서 투표에 충분히 참여할 수 있다는 점 등을 들어 투표시간 연장에 반대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