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에서 출발해 서해안을 건넌 뒤 중국을 거쳐 유럽까지 동·서양을 연결하는 실크로드의 시작으로 기대를 모았던 ‘열차페리’ 사업이 경제성·인프라 부족 등의 이유로 아무런 성과없이 흐지부지되며 결국 무산됐다.
앞서 열차페리사업 추진을 계획했던 인천시 역시 이 같은 이유로 손을 뗐다.
29일 도와 인천시에 따르면 열차페리는 배의 내부에 선로를 설치해 화물을 실은 열차가 부두에서 배에 직접 들어갈 수 있게 한 운송체계로, 배가 바다를 건너 항구에 도착하면 배에서 빠져 나가 최종 목적지까지 운송하는 방식이다.
크레인으로 화물 컨테이너를 들어 옮기는 작업을 하지 않으면서 하역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고 소규모 화물이나 컨테이너에 실을 수 없는 건설 중장비 등 다양한 화물까지도 수송할 수 있는 이점 등 때문에 기대가 모아졌다.
지난 2007년 당시 대선주자로 나선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는 국회 헌정기념관에서 열린 ‘대륙횡단철도와 열차페리 정책세미나’를 통해 “현재 남북이 분단돼 있어 열차페리가 현실적인 방안이고 이를 이용해 중국·중앙아시아·유럽 등으로 갈 수 있어 우리 기업의 경쟁력 높아질 것”이라고 밝혀 주목을 끌었다.
이 자리에 함께 참석했던 김문수 지사는 “평택항에 열차페리를 구상하고 있지만 아직은 기반시설이 부족한 상태”라면서 “가급적 빠른 시일 내로 평택항구까지 철도가 놓여 열차페리가 운행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당시 도는 중국 리빈 전 대사와 이미 평택-웨이하이(威海)시 간 열차페리를 위한 사업추진을 논의한데 이어, 같은 해 4월 김 지사는 요녕성 대련시의 여순항에 방문해 정박중인 열차페리에 승선해 철로간의 연결지점을 살펴보는 등 벤치마킹에 나서기도 했다.
하지만 열차페리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전제돼야 할 조건들이 도처에 산재해 발목이 잡혔다.
평택항의 광역철도 교통망과의 연결과 항만 내 인입철도선 부설, 항만배후단지 내 충분한 부지 확보, 열차페리 전용선박과 부두 내 전용시설 등이 주요 전제 사항들로 떠올랐다.
여기에 수익성을 보장할 수 있는 충분한 물동량 창출 및 확보 조건은 평택항의 현황을 감안할 때 사업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것으로 받아들여져 더 이상 진척되지 못하고 사실상 사장돼 왔다.
현재는 국가 사업으로 포승(평택항)~안중~평택역 단선철도가 평택항 수출입 화물의 원활한 물류수송과 미군기지 이전사업에 따라 지난 2007년부터 2019년 완공을 목표로 총 30.3km에 6천396억원이 투입돼 진행중이다.
이 철도는 올해 18%의 공정률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 사업이 완공되면 열차페리사업에 활용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도는 기대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2000년 중반에 열차페리사업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으나, 도와는 관계가 없는 사업으로 알고 있다”며 “단선철도가 완공될 당시, 정부에서 열차페리사업에 대해 협조를 요청한다면 도에서도 협력을 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