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선후보 캠프의 새로운정치위원회가 심야회의를 통해 ‘지도부 총사퇴’의 극약처방을 꺼내든데 이어 비주류인 김한길 최고위원이 1일 당 지도부의 퇴진을 촉구, 최고위원직을 전격 사퇴하면서 민주통합당이 전면적 인적쇄신의 소용돌이에 휩싸였다.
이해찬 당 대표와 박지원 원내대표의 ‘투톱 퇴진’으로 대변되는 지도부 사퇴론은 당내 비주류가 그동안 줄기차게 주장해왔다는 점에서 당내 계파간 권력투쟁으로 번져 내홍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적지 않다.
외부인사 위주로 이뤄진 새정치위가 지난달 31일 심야회의에서 지도부 총사퇴론이라는 초강수를 둔 것은 일단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고강도 쇄신으로 문 후보의 정치쇄신 의지를 뒷받침, 정체상태인 문 후보의 지지율 제고와동시에 무소속 안철수 후보와의 단일화를 염두에 둔 이중포석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김 최고위원도 이날 성명을 내고 “문재인 대선후보가 민주당내 기득권 정치를 깨겠다고 약속한 만큼 문 후보가 쇄신을 거리낌없이 이끌 수 있도록 현 지도부가 모든 기득권을 내려놓고 용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저부터 내려놓겠다. 정권교체의 밀알이 되겠다“고 밝힌 뒤 사퇴했다.
지난 95년 정계에 입문한 김 최고위원은 김대중 정부 시절 문화부 장관, 노무현 정부 시절 열린우리당 원내대표 등을 지냈으며 18대 총선에서 불출마를 선언한 뒤 지난 4월 총선을 통해 여의도에 재입성했다. 당 대표선거에서 이해찬 대표에 이어 2위를 차지했었다.
그러나 이같은 지도부 퇴진론의 거센 압박에도 불구, 지도부 총사퇴론이 당장 현실화할지 여부는 불투명하다.
당장 문 후보는 강원도 고성의 동해선 남북출입사무소에서 기자회견 직후 “현실적으로 고려할 문제도 많기 때문에 저한테 맡겨주고 시간을 좀 줬으면 좋겠다”고 밝혀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그는 “사실상 두 분은 이미 2선퇴진을 한 것이나 마찬가지이고 선대위 활동에 지장을 주는 바는 없다고 본다”고 밝혀 “인적쇄신이 본질은 아니다”라고 선을 긋고 있는상태라 앞으로 어떤 선택을 내릴지도 주목된다.
특히 대선을 40여일 앞둔 상태에서 인적쇄신 논란이 당내 계파간 주도권 싸움과 직결될 수밖에 없어 해법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