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지방자치단체나 공공기관의 횡령사고 등 회계부정 사건이 잇따르면서 회계 관련업무의 근무자들이 곤혹스런 수난을 받는 등 불똥이 튀면서 홍역을 치르고 있다.
일부 공공기관은 아예 대대적인 물갈이 인사이동을 하는가 하면, 앞다퉈 자체 점검을 실시하고 정부의 특별감사에 이어 지방자치단체들도 내년 2월까지 관련업무에 대한 특별감사를 실시키로 하는 등 거센 후폭풍으로 이어지고 있다.
전남 여수시청 8급 공무원의 아내 사채빚을 갚기 위해 시작된 76억원 공금횡령 사건에 이어 경북 예천군청 직원의 공유재산 사기횡령, 강원도청 6급 기능직원의 봉급·수당 편취 등 각종 횡령사건이 줄줄이 드러나면서 구멍 뚫린 재정관리시스템에 대한 전면 조사에 나서고 있는 상태다.
행정안전부는 지난달말 산하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회계관련 담당자에 대한 자체 점검에 이어 장기간 근무한 기능직 공무원을 대상으로 물갈이 인사이동을 실시하도록 하는 시행지침을 내려보냈다.
이에 중앙공무원교육원 및 지방행정연수원 소속의 기능직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이달초 느닷없이 돌려막기식 인사이동을 실시하면서 불필요한 오해를 받는 등 무성한 뒷말을 낳고 있다.
경기도는 오는 26일부터 내년 1월까지 도내 시·군에 대한 집중감사와 분석에 들어갈 예정이다. 도 산하단체 등에 대한 자체 회계감찰도 강화하고 있다.
이미 3천300여명의 봉급과 수당 등을 처리하는 지급시스템에 대해서도 여수 횡령사고 발생 직후 부랴부랴 자체 검검을 벌여 이상없음을 확인하는 등 집안단속에도 나섰다.
도는 지난달 30일 본청을 비롯해 도의회, 사업소 등의 원천징수액과 세입·세출, 각종 세금 납부내역 등 관련자료를 대상으로 ‘현미경 회계감사’에 돌입한 상태다. 현재 도내 34개 소방관서에서 제출한 관련서류도 검토중에 있다.
도 관계자는 “정부는 내년 2월까지 감시기간으로 두고 있지만 증거 인멸 우려 등이 있어 최대한 빠른 시간에 감사를 시작할 방침”이라며 “강도높은 감사를 통해 청렴하게 업무에 임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