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산림환경연구소는 ‘참나무 에이즈’로 불리는 ‘참나무 시듦병’ 방제에 효과적인 약제를 개발했다고 25일 밝혔다.
참나무 시듦병은 ‘광릉긴나무좀’이라는 벌레가 줄기에 파고들어 곰팡이균을 옮기면 이 균이 급속도로 번식해 나무가 말라죽는 병이다.
지난 2004년 성남에서 최초 발견돼 현재 전국 82개 시·군에 걸쳐 33만 그루가 감염됐으며, 도내에만 17만 그루가 감염됐다.
특히 이 병은 최근 종묘와 창덕궁의 참나무에도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는데다 적절한 방제가 어려워, 산림당국은 감염체 주변 나무를 모두 베어내거나 감염된 나무만 베어내고 훈증 처리했다.
그러나 사실상 치료가 불가능했던 이 병에 연구소가 소나무 송진에서 추출한 ‘투루펜틴’이라는 친환경 물질의 약제를 사용하면 나무를 잘라내지 않아도 된다. 광릉긴나무좀 살충효과가 뛰어나기 때문이다.
또 이 약은 나무껍질에 막을 만들어 광릉긴나무좀의 침입을 막는 등 참나무 시듦병의 재감염도 막아준다.
친환경재료로 만들어져 다른 나무나 사람, 동물 등에 피해가 없고 감염 초기에 방제해 나무를 되살릴 수도 있다는 것이 매우 큰 장점이다.
한편 도는 이번 약제 개발로 지난 14일 산림청 방제품질대회에서 최우수상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