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난해 추진한 ‘중소기업건강관리시스템’ 사업이 올해에는 창업 초기기업의 생존률 부문이 강화되고 부실기업에 대한 재무구조 개선 사업도 새롭게 추가된다.
2일 경기지방중소기업청에 따르면 이 사업은 올해 경기지역에서 모두 1천680여개사를 지원 목표로 삼고 15억1천200만원의 예산(업체당 90만원)이 투입된다.
이는 지난해 사업 실적인 1천100여개사에서 52% 가량 지원 대상이 확대된 것이다.
특히 신기술 창업초기 기업의 자생력 확충에 무게를 둔다.
이를 위해 창업사관학교 졸업기업 등 신기술 창업초기기업에 대한 건강진단 기반의 맞춤형 치유를 추진해 창업생존율을 향상시킬 방침이다.
또 은행권 구조조정 대상기업 등 구조적 경영애로기업을 대상으로 재무구조 개선, 사업 재구축 등 신규 사업이 새롭게 실시된다.
이는 올해 국내·외 경기불황으로 인해 중소기업의 위기요인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돼 제시된 조치다.
C등급과 D등급 중소기업을 비롯해 재무구조가 부실한 기업은 사업전환, 자산 일부매각, 자본증자 등의 처방 후 정상화 가능 여부를 판단해 자금, 보증, R&D, 마케팅 등을 후속 지원한다.
정상화가 어려운 기업은 기업회생절차 신청을 유도하거나 M&A, 파산 등 퇴출을 유도한다.
이와함께 중소기업건강관리시스템의 운영체계도 개선한다.
진단기관의 기업건강 진단신청·접수기간을 일원화하고 처리 기간은 기존 40~50일에서 30일 이내로 단축한다.
또 행정안전부의 ‘행정정보공동이용망’을 활용해 중소기업이 건강진단을 위해 제출하는 서류도 간소화시킬 방침이다.
경기중기청 관계자는 “지난해 시범운영 성과를 면밀히 분석해 올해에는 한층 강화된 건강관리시스템을 실시할 예정”이라며 “특히 진단기업에 대한 건강관리를 전담할 진단전문가의 역할도 한층 높여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