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국회에서 열린 새누리당 최고중진연석회의와 의원총회에서 김 후보자 낙마로 인한 새정부 출범의 차질 우려와 함께 인사시스템 개선, 박 당선인과 소통강화 필요성 등이 분출됐다.
황우여(인천 연수) 대표는 최고중진연석회의에서 “인사청문회는 죄와 허물을 공개적으로 확인하는 자리라기보다는 지명자들의 능력과 꿈의 크기를 검증하는 자리가 돼야 한다”고 전제, “여러 가지 하자나 문제가 있을 때에는 사전에 비공개적으로 (검증)해서 잘 걸러지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재철(안양 동안을) 최고위원도 “보안보다 더 중요한 것이 검증으로, 당선인이 이 점을 깊이 생각하고 인사시스템을 바꾸면 좋겠다”면서 “김 후보자 낙마가 주는 여러 교훈과 여파가 잘 반영되고 극복돼 새롭게 나아가는 소중한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정우택 최고위원은 “병역문제나 부동산투기 의혹은 서류검증만으로도 걸러질 수 있는 사안인데 당선인 측에서 사전검증을 너무 소홀히 하지 않았나 하는 지적이 있다”면서 “이제 인사스타일을 수정보완할 필요가 있다. 시스템에 의한 철저한 사전검증을 거쳐 인사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연방수사국과 국세청, 공직자윤리위, 백악관 인사국이 223개 항목에 걸쳐 후보를 검증하는 미국의 사례를 제시하며 인사추천과 검증 기능을 분리한 인사시스템 마련을 주장했다.
민주통합당은 ‘불통인사, 밀봉인사가 불러온 참극’이라고 규정하면서 인사검증시스템의 전면 개선을 촉구하는 등 비판공세로 압박했다.
박기춘(남양주을) 원내대표는 “박 당선인은 나홀로 집에서 혼자 결정하는 시스템에서 벗어나 검증인사로 시스템을 바꿔야 한다”며 “새 총리 후보자는 도덕적 하자가 없는 분으로 지명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박용진 대변인은 국회 브리핑에서 “이런 사고가 반복되지 않으려면 ‘자택검증’에서 ‘시스템 검증’으로 인사검증 방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박 당선인은 철통보안만 강조하지 말고 국민과 적극 소통해야 하며 사전 검증에서도 엄밀한 잣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