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Money Q&A]38세 여성 공무원 재무설계

화폐가치 하락 위험 보장 변액연금이 유리
근속연수 적어 공무원연금 부족…개인연금으로 노후자금 보충
결혼 계획없는 미혼 여성은 기혼보다 많은 노후 대비 투자 필요

Q.안녕하세요, 저는 38세 여성 공무원입니다.

현재 미혼이고, 아직 결혼 계획은 없습니다.

퇴직 나이는 52~55세로 예상하고 있으며, 공무원연금을 60세 이후에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무년수(20년)가 많지 않다 보니 금액이 많지 않을 것 같아 걱정이 앞섭니다.

저의 재무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연봉 2천800만원

- 간병인보험 1개 보유

→ 실손보험에 가입하고 싶으나 치료 경력이 많은 편(결핵, 중이염 등)

- 일반/청약저축 월 100만원



우선 퇴직 후부터 연금을 수령할 계획이고, 부양가족이 없기 때문에 싱글을 위한 연금을 추가로 하나 들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떻게 준비하는 것이 좋은 지 전문가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은퇴후 생활자금 준비 어떻게 할까요



A.개인연금은 크게 소득공제를 받는 연금과 비과세혜택을 받는 연금으로 나뉩니다.

대표적으로 소득공제를 받는 연금으로 연금저축보험을 꼽는데, 많은 초년생들이 소득공제를 위해 해당상품에 가입을 하지만 훗날 연금수령 때마다 연금소득세로 받은 공제액을 다시 돌려내야 한다는 사실을 아는 분들은 그리 많지 않습니다.

즉 공제를 받음으로 인한 혜택이 사실상 전무하며, 물가상승률보다 낮은 이율로 인한 화폐가치 하락과 고정된 기간동안만 연금이 지급되는 확정연금도 소득공제용 연금상품이 실질적인 연금으로서 가치를 하기 어렵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순수하게 은퇴 이후 필요한 생활자금마련이 주된 목적이라고 한다면 비과세혜택을 받는 연금상품을 선택해 세금부담없이 보다 많은 연금을 지급받도록 하는 방법이 유리하다고 말씀드립니다.

또 비과세혜택을 받는 연금상품은 종신연금이라 해 평생 사망하는 순간까지 연금이 끊이지 않고 지급되므로 100세 시대를 떠나 확실한 노후자산을 보장해주게 됩니다.

비과세연금은 크게 연복리 변동금리를 적용하는 연금보험과 펀드에 투자하는 변액연금으로 나뉘는데, 젊은 사람의 경우 상황과 은퇴시점까지 약 20년 정도의 긴 시간이 남아있다는 점에서 역시 화폐가치위험이 있는 연금보험보단 기대수익을 높일 수 있는 변액연금이 최선의 노후대비상품이라 결론내릴 수 있습니다.

실제 지난 10년간 발생된 수익을 살펴보면 연금저축보험이나 연금보험은 연 4.8%의 평균수익을 나타냈지만, 같은 기간 운영된 변액연금들은 연 9%의 높은 수익을 보였으며, 일부 운용능력이 뛰어난 회사 중에서는 11년 간의 누적수익 대비 연평균수익이 20%를 넘는 곳도 있습니다.

그만큼 오랜 투자기간만 확보할 수 있다면 변액연금이 보다 많은 연금자산을 마련해 줄 수 있습니다.

현재 38세로 퇴직시점을 55세로 가정할 때 17년 동안의 기간을 고려해 납입기간은 10년으로 설정하고 거치기간 7년을 지나 55세부터 연금을 지급받는 방식으로 가입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결혼계획이 없는 미혼여성의 경우에는 보다 많은 노후대비를 위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저축비율은 월 저축자금의 50%는 노후를 위해 투자되는 것이 적합한 비율이며 현재 연봉수준을 고려할 때 적정 저축자금은 150만원(최소 소득의 60% 이상) 정도가 돼야하는 만큼 월 75만원 정도까지는 노후를 위해 준비돼야 함이 옳다고 조언드립니다.

만약 월 75만원씩 10년 간 납입 후 7년 뒤인 55세부터 연금을 받을 경우 연 9% 수익가정할 때 매월 92만원의 연금을 사망시까지 평생 지급받을 수 있게 됩니다.

다만 현재 저축가능한 최대 자금이 작성한 내용처럼 월 100만원이라면 월 50만원을 투자하는 것이 맞으며, 이와 같은 경우에는 55세부터 매월 67만원의 연금이 지급됩니다.

분명 근속기간이 낮음으로 인해 공무원연금 수령액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와 같은 확실한 개인연금을 준비해 최소한의 노후생활자금을 확보해 두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을 말씀드립니다.

한가지 팁을 드리자면 보다 많은 연금자산 확보를 위해선 연금선택 시 장기수익성이 우수하면서 타사 대비 환급률이 높고, 무엇보다 연금수령 전까지 발생된 수익금 중에서 가장 높았던 수익금으로 연금이 지급되는 상품으로 가입하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그 어떤 상품보다도 많은 연금자산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확신합니다.

자료제공=모네타(http://www.moneta.co.kr)

※상담방법모네타 → 재테크칼럼/상담 → 재테크상담 → 종합상담신청

현재 지출·재무 현황

수입: 연봉 2천800만원

일반/청약저축: 월 100만원

보험: 간병인보험

포트폴리오 제안

저축 가능자금: 100만원

저축: 50만원

변액연금: 50만원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