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7 (일)

  • 맑음동두천 32.0℃
  • 맑음강릉 33.9℃
  • 맑음서울 32.7℃
  • 맑음대전 32.8℃
  • 맑음대구 31.6℃
  • 맑음울산 31.0℃
  • 맑음광주 32.3℃
  • 구름조금부산 31.5℃
  • 맑음고창 33.1℃
  • 구름조금제주 29.9℃
  • 맑음강화 30.8℃
  • 맑음보은 30.5℃
  • 맑음금산 30.8℃
  • 맑음강진군 33.3℃
  • 맑음경주시 31.9℃
  • 구름조금거제 29.1℃
기상청 제공

‘농업용 미래 상세 전자기후도’ 개발

농진청, 2099년까지 작물 생산·재배적지 예측… 고랭지 배추↓ 난지형 마늘↑

농촌진흥청은 미래의 기후 변화에 대응한 농작물 생산과 재배 적지를 예측할 수 있는 ‘농업용 미래 상세 전자기후도’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농업용 전자기후도는 기상청의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바탕으로 고도와 지형, 도시열섬, 냉기유입, 경위도 등 농업환경 요소를 반영, 필지 별로 2011년부터 2099년까지 10년 단위로 농업기후를 예측할 수 있는 지도다.

농진청은 이날 기후도를 이용해 고랭지 배추와 난지형(暖地型) 마늘의 미래 재배지 변동을 예측한 결과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2010년 7천449㏊였던 고랭지 배추 재배면적은 2090년에는 ‘0’이 되며, 난지형 마늘의 재배면적은 2만2천957㏊에서 2090년 8배인 18만1천612㏊로 늘어난다.

이는 지난 100년 동안 1.5도의 기온이 상승한 우리나라가 지금과 비슷한 추세로 간다면 온실가스 배출로 고랭지 배추 재배면적이 2020년 4천516㏊, 2050년 256㏊로 줄어 2090년에는 재배가 불가능하게 된다는 의미다.

그나마 온실가스 배출을 줄여 기온 상승 추세를 늦출 경우 2090년 242㏊ 정도에서 고랭지 배추를 키울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초여름에 수확하는 난지형 마늘은 현재 연평균 기온이 높은 남해안과 제주 동·서부지역에서 재배되는데, 현재 추세로 기온이 상승할 경우 2020년 4만2천750㏊, 2050년 8만5천242㏊ 등 꾸준히 재배 면적이 늘어 2090년에는 산악지역을 제외한 남부지방 전역에서 재배가 가능해 질 것으로 예상된다.

농진청 최인명 온난화대응농업연구센터장은 “기후 변화는 중요한 국가적 정책 사안으로 농업도 신속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이번 농업용 전자기후도와 기후변화 연구시설들을 통해 미래의 모든 상황에 대비한 연구를 강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진청은 배추와 마늘에 이어 감자와 참다래의 미래 재배지 변동 예측 지도를 제작하고 있으며 사과와 배, 감귤 등 과수와 고추, 무 등 채소를 중심으로 기후 변화 연구를 확대할 예정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