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와 경기도의회, 도내 노동계와 경제계 대표들이 29일 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협력하자는 내용의 노·사·민·정 대타협을 선언했다.
김문수 지사, 윤화섭 도의회 의장, 허원 한국노총 경기지역본부 의장, 조용이 경기경영자총협회 회장, 김제락 중부지방노동청장, 백남홍 경기도상공회의소연합회 회장은 이날 오전 도청 상황실에서 국민행복·일자리 창출과 경제 활성화를 위한 노·사·민·정 대타협 선언문을 발표했다.
박근혜정부 출범 이후 전국에서 처음이다.
이들은 합의문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양극화 해소가 정부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다”며 “경기도 노사민정은 국민행복, 일자리창출, 경제활성화를 위해 함께 협력한다”고 밝혔다.
구체적인 실천과제도 제시됐다.
우선 노동계는 지나친 임금격차 구조를 개선하고 근로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 상생의 노사협력 문화 정착을 통한 일자리 창출에 이바지하기로 했다.
경영계도 국외투자보다 국내투자를 확대하고 대·중·소기업 간 상생협력 증진, 비정규직의 고용 개선에 노력하기로 했다.
도와 도의회는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고 ‘일과 교육·가정·주거’가 양립하는 일자리 정책을 강화해 기업 경영하기 좋은 여건을 조성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노·사·민·정은 근로복지 확대와 작업환경 개선에 필요한 투자 확대,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한 ‘직장+주거’ 일체형의 자족도시 개발방식으로의 도시정책 전환 등을 중앙정부에 기대한다고 밝혔다.
도는 대타협 선언문에서 합의된 내용을 현실화시킬 실행계획을 마련해 즉시 시행하기로 했다.
김 지사는 선언식에서 “사회적 대타협은 대통령 공약사항일 뿐 아니라 최우선 국정과제인 고용률 70% 달성을 위해서도 필요하다”면서 “경기도 노사민정 합의가 국가 차원의 노사민정 대타협으로 이어지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하고 서로 힘을 합쳐 나간다면 충분히 극복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도는 금융위기로 경제위기를 맞았던 2009년 전국 최초로 사람중심 노·사·민·정 협력모델을 선언하며 도내 경제계와 노동계의 대타협을 이뤄냈었다. %1982jayd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