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민당 시절 당료로 출발한 전 원내대표는 충남 홍성 출신으로 김대중정부에서 국정상황실장, 국정홍보처 차장 등을 지낸 ‘정책통’이며, 지난해에도 원내대표 경선에서 나섰다 고배를 마신 바 있어 1년 만의 재도전 끝에 뜻을 이뤘다. 당내에서는 정세균 상임고문 계보로 분류된다.
전 의원은 15일 오전 국회에서 소속의원 125명이 참석한 가운데 열린 원내대표 경선에서 결선투표까지 가는 접전 끝에 68표를 득표, 56표를 얻는데 그친 우윤근 의원을 12표차로 누르고 당선됐다.
전 의원은 19대 국회에서 박지원·박기춘(남양주을) 의원에 이어 민주당의 세번째 원내사령탑을 맡게 됐다.
앞서 실시된 1차 투표에서는 우윤근 의원 50표, 전병헌 의원 47표, 김동철 의원 27표를 각각 얻었으나, 재적 과반(64표) 득표자가 없어 전 의원과 우 의원을 상대로 결선투표로 이뤄졌다. 전 의원은 아슬아슬한 1차투표 2위를 딛고 결선투표에서 뒤집기에 성공, 막판 역전드라마를 이뤄냈다.
민주당은 지난 4일 전당대회에서 김한길 대표체제를 출범시킨 데 이어 이날 원내대표를 새로 선출하면서 당 지도부 구성을 사실상 마무리했다.
신임 전 원내대표는 당선인사에서 “의원들이 저를 선택해 준 것은 분명한 존재감, 선명한 민주당, 유능한 민주당으로 함께 나가자는 결의라 생각한다”면서 “127명 의원들의 역량을 한데 모아 민주당의 위기를 극복하는 데 좋은 성과를 이루겠다”고 말했다.
민주당은 ‘투톱’인 당 대표와 원내대표를 모두 서울 출신의원들로 선출한데다, 최고위원 중에도 호남에 정치적 기반을 둔 인사가 1명도 없게 되면서 그동안 당의 외연확장에 걸림돌로 작용했던 ‘호남당’ 이미지를 벗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 원내대표는 그동안 ‘선명한 야당’, ‘기백있는 민주당’을 내세워온 터라 향후 쟁점현안을 놓고 여야 힘겨루기가 벌어질 가능성을 적지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