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진국의 출구전략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국내 시중은행의 대출금리마저 들썩거리고 있다.
16일 도내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의 양적완화 조기 종료 가능성 등 글로벌 금융시장의 출구전략 논의에 국내 채권금리가 이달 들어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하한 지난달 9일 5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연 2.62%로 사상 최저 수준이었으나, 지난 12일에는 3.08%까지 급등했다.
같은 기간 동안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도 연 2.55%에서 2.88%로 상승했다.
전반적인 시장금리가 상승하면 은행 대출금리도 동반상승할 수밖에 없다. 특히 대출금리가 국고채 금리에 연동된 적격대출은 이미 금리가 상당폭 올라갔다.
적격대출은 9억원 이하의 주택을 담보로 한 최단 10년, 최장 30년의 분할상환 대출 상품이다.
우리은행의 적격대출은 지난달 9일 금리 인하 당시 10년 만기 비거치 상품의 금리가 연 3.75%였으나 지금은 연 4.17%로 0.4%포인트 이상 뛰어올랐다. 30년 만기 비거치 상품도 같은 기간 연 3.77%에서 연 4.14%로 올랐다.
신한은행의 적격대출 금리는 지난달 9일 연 3.8~3.9%에서 이달 14일 연 4.2~4.3%로 올랐다. 하나은행도 한달 동안 0.4%p 가까이 상승했다. 외환은행의 적격대출 금리(10년 만기 비거치식)는 지난달 9일 3.72%에서 지금은 4.13%로 0.4%p 이상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