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경기지역 먹는 물 공동시설 수질 검사 결과 부적합률이 23.7%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민주당 홍영표(인천부평을)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2012년 먹는물 공동시설 관리실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17개 지자체 평균 부적합률은 26.9%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부적합률을 보인 곳은 서울 47.5%였으며, 이어 부산 40.1%, 인천 37.3%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세종시는 0%의 적발률을 보였다. 경기는 23.7%로 평균 이하를 기록했다.
전국 지자체별로 먹는 물 공동시설 지정현황을 보면 전국에 1천473곳이 있는 가운데 가장 많이 있는 지자체는 경기지역 412곳, 서울 273곳, 부산 184곳으로 조사되었고, 적은 곳은 세종시 3곳, 제주는 4곳 순이었다.
연도별 검사 결과에서 부적합으로 적발된 건수는 ▲2010년 22.0%인 1천911건 ▲2011년 25.4%인 2천30건 ▲2012년 26.9%인 2천283건으로 매년 부적합 건수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부적합 이유는 총대장균군 등 미생물 항목초과가 대부분(97%)이고, 질산성질소 등 유해영향물질이 3%내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