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위기의 GTX, 토사구팽 당한 경기도
2. 돌파구 찾지 못하는 USKR
3. 명품 아닌 베드타운 전락 광교신도시
광교신도시가 좌초되고 있다. 에콘힐, 컨벤션시티 등 랜드 마크로 홍보되었던 굵직한 핵심 사업이 모두 표류 중이다. 이 가운데 광교신도시 개발의 전제였던 도 청사 광교이전은 세 번째 중단 사태를 맞았다.
광교신도시 역점 사업이 줄줄이 차질을 빚으면서 공동주택부지(95%)를 제외한 도시지원시설(46%), 공공시설부지(62%), 상업용지(68%) 등의 공급률이 50% 내외에 그쳤고, 경기도시공사로부터 토지를 분양 받고 중도금 등을 갚지 못한 금액만 2천200여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관련기사 3면
27일 경기도와 경기도시공사에 따르면 도는 최근 광교신도시 내 도 신청사 건립에 필요한 설계비 31억원과 공사비 249억원 등을 2014년 예산 편성에서 모두 삭감했다.
당초 내년 2월 설계가 완료되면 계약심사와 입찰 등 행정절차를 거쳐 9월에 착공, 2017년 8월 준공할 예정이었지만 도 재정난을 이유로 사실상 도 청사 이전 중단을 선언한 것이다.
도 청사 이전 계획은 지난 2010년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보류와 철회를 반복했고, 이번이 3차 중단 사태다.
광교신도시 핵심 사업이 계속된 위기에 빠지면서 도 청사와 컨벤션 부지 주변 부지를 분양받은 민간 계약자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도 청사 인근에서 중심·일반상업·업무시설·도시지원시설 용지 등을 분양받고도 착공조차 실시되지 못한 면적은 9만2천462㎡, 15개 필지로 파악됐다. 15개 필지는 2011년부터 분양을 시작해 민간 투자금액만 4천억원이 넘어선다.
도 청사(11만8천218㎡) 이전 지연으로 동일 규모에 육박하는 인근 민간 부지가 첫 삽조차 뜨지 못하면서 민간 사업자들이 경기도시공사에 중도금 등을 지불하지 못한 매매대금(미수금)은 689억원(5개 필지) 규모다.
중도금 미납은 금융권 대출 이자 미납 사태로 확산됐다. 도청 인근 부지에 투자한 민간 사업자들의 연체 중인 지연손해금은 113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2개 필지는 도청, 컨벤션 등 광교신도시 주요 사업 지연 등으로 손해가 발생했다며 소송을 진행 중이다.
도 청사 인근 부지를 포함한 광교신도시 전체 분양 미수금은 106개 필지, 2천260억원으로 집계됐다.
오완석 경기도의원(민·수원7)은 “중도금 미납 사태는 대량 계약 해지 사태로 확산될 수 있다”며 “도가 도 청사 광교 이전을 또다시 중단하면서 미분양 증가, 토지 가격 하락 등 다양한 부작용이 속출하고 이로 인해 도와 경기도시공사 역시 재정 및 경영 위기가 불가피한 만큼 도 청사 광교 이전 중단 선언을 철회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경기도의 재정상태가 심각해 상태가 호전될 때까지 청사 이전이 어렵다”고 못 박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