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병원 장기이식팀은 지난 1995년 6월29일부터 올해 5월2일까지 18여년에 걸쳐 500명을 대상으로 신장 이식을 시행, 이식한 환자의 5년 생존율은 95.5%, 10년 생존율이 92%, 10년 동안 이식 신장이 기능할 생존율이 82%로 타병원에 비해 양호한 성적을 유지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이식 유형으로는 ▲생체이식 285명(57%) ▲사체이식 214명(43%) ▲자가이식 1명이었고, 이식 회수에 따라 ▲일차이식 474명(95%) ▲재이식 26명(5%)으로 집계됐다.
기증자는 뇌사자가 42.8%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환자의 형제 자매 20.2%, 부부 10.4%, 자녀 9%, 친척 8.6%, 부모 5.6% 등의 순이었다.
연령대로는 사회 활동이 왕성한 20대에서 50대까지 수혜자(97%)와 기증자(94%) 모두 집중 분포돼 있고, 여자보다는 남자가 수혜(56%)와 기증(62%) 모두 많이 했다.
수술적 측면을 보면 신·췌장 동시이식 9명, 자가이식 1명, 소아의 두 개의 신장을 성인에게 이식 2명, 외국인 생체이식 1명, B형간염보균자 이식 5명, 심장사 이후 이식 2명, 교차반응 양성 환자 이식 3명, 가족간 교환이식 17명 등 접하기 어려운 사례들이 포함돼 있다.
한편, 아주대병원은 지난 27일 병원 지하 1층 별관대강당에서 신장 이식수술 500례 기념식 및 보고회를 가졌다.